<BOJ> 1966 프린터 큐

김지원·2022년 2월 11일
0

백준

목록 보기
6/9

프린터 큐

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힌 사람정답 비율
2 초128 MB39804220491741357.006%

문제

여러분도 알다시피 여러분의 프린터 기기는 여러분이 인쇄하고자 하는 문서를 인쇄 명령을 받은 ‘순서대로’, 즉 먼저 요청된 것을 먼저 인쇄한다. 여러 개의 문서가 쌓인다면 Queue 자료구조에 쌓여서 FIFO - First In First Out - 에 따라 인쇄가 되게 된다. 하지만 상근이는 새로운 프린터기 내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는데, 이 프린터기는 다음과 같은 조건에 따라 인쇄를 하게 된다.

현재 Queue의 가장 앞에 있는 문서의 ‘중요도’를 확인한다.
나머지 문서들 중 현재 문서보다 중요도가 높은 문서가 하나라도 있다면, 이 문서를 인쇄하지 않고 Queue의 가장 뒤에 재배치 한다. 그렇지 않다면 바로 인쇄를 한다.
예를 들어 Queue에 4개의 문서(A B C D)가 있고, 중요도가 2 1 4 3 라면 C를 인쇄하고, 다음으로 D를 인쇄하고 A, B를 인쇄하게 된다.

여러분이 할 일은, 현재 Queue에 있는 문서의 수와 중요도가 주어졌을 때, 어떤 한 문서가 몇 번째로 인쇄되는지 알아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예에서 C문서는 1번째로, A문서는 3번째로 인쇄되게 된다.

입력

첫 줄에 테스트케이스의 수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케이스는 두 줄로 이루어져 있다.

테스트케이스의 첫 번째 줄에는 문서의 개수 N(1 ≤ N ≤ 100)과, 몇 번째로 인쇄되었는지 궁금한 문서가 현재 Queue에서 몇 번째에 놓여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수 M(0 ≤ M < N)이 주어진다. 이때 맨 왼쪽은 0번째라고 하자. 두 번째 줄에는 N개 문서의 중요도가 차례대로 주어진다. 중요도는 1 이상 9 이하의 정수이고, 중요도가 같은 문서가 여러 개 있을 수도 있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문서가 몇 번째로 인쇄되는지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3
1 0
5
4 2
1 2 3 4
6 0
1 1 9 1 1 1

예제 출력 1

1
2
5

알고리즘 분류

  • 구현
  • 자료 구조
  • 시뮬레이션

풀이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printer(A,B):
    N = A[0]
    M = A[1]
    count = 0
    flag = True
    printerQueue = deque(B)
    Max = max(printerQueue)


    while(flag):
        temp = printerQueue[0]
        if(temp < Max):
            printerQueue.append(printerQueue.popleft())
            if(M == 0):
                M = len(printerQueue) - 1
            else:
                M -= 1
        else:
            count += 1
            if(M == 0):
                print(count)
                flag = False
            else:
                printerQueue.popleft()
                Max = max(printerQueue)
                M -= 1


a = int(sys.stdin.readline())


for _ in range(a):
    A = list(map(int,sys.stdin.readline().split()))
    B = list(map(int,sys.stdin.readline().split()))

    printer(A,B)

파이썬의 표준입출력에 익숙하지 않아서 헤맸던 문제.
javascript에서는 input을 사용하지만
python에서는 되도록 sys.stdin.readline을 사용하자

profile
지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