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그램 패킷 교환 방식
을 사용한다.패킷 사이의 전송 순서를 보장한다.
연결지향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연결을 하여 데이터 신뢰성을 구축해서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
TCP는 UDP에 비해 신뢰도가 높지만 속도가 느리다.
가상회선 패킷 교환 방식
을 사용한다.
가상회선 패킷 교환 방식: 각 패킷에는 가상회선 식별자가 포함되며 모든 패킷을 전송하면 가상회선이 해제되고 패킷들은 전송된 순서대로 도착하는 방식을 말한다.
TCP 연결 성립 과정: 3-way handshake
- TCP는 신뢰성을 확보할 때 ‘3-way handshake’라는 작업을 진행한다. 해당 과정을 통해 신뢰성을 구축하고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 UDP는 이 과정이 없기에 신뢰성이 없는 계층이라고 한다.
cf. TCP State(연결 상태 설명)
상태 | 설명 |
---|---|
CLOSED | 연결 수립을 시작하기 전의 기본 상태 (연결 없음) |
LISTEN | 포트가 열린 상태로 연결 요청 대기 중 |
SYN-SENT | SYN 요청을 한 상태 |
SYN-RECEIVED | SYN 요청을 받고 상대방의 응답을 기다리는 중 |
ESTABLISHED | 연결 수립이 완료된 상태, 서로 데이터 교환 가능 |
cf. TCP Flag (모든 플래그는 1비트로 정의 된다)
TCP 연결 해제 과정: 4-way handshake의 과정
cf. TCP State
상태 | 설명 |
---|---|
CLOSE | 커넥션 없음 |
LISTEN | Passive open, SYN을 기다리는 상태 |
SYN-SENT | SYN을 보내고 ACK를 기다리는 상태 |
SYN-RCVD | SYN+ACK을 보내고 ACK를 기다리는 상태 |
ESTABLISHED | 커넥션이 생성된 상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
FIN-WAIT-1 | 첫 FIN이 보내진 상태, ACK를 기다리고 있다. |
FIN-WAIT-2 | 첫 FIN에 대한 ACK를 받은 상태, 2번째 FIN을 기다리고 있다. |
CLOSE-WAIT | 첫 FIN을 받고 ACK를 보낸 상태, 어플리케이션의 종료를 기다리고 있다. |
TIME-WAIT | 2번째 FIN을 받고 ACK를 보낸 상태, 동일 포트와 주소에 커넥션이 생성되지 않도록 하는 시간(2MSL time out)을 기다리는 상태 |
LAST-ACK | 2번쨰 FIN을 보내고 ACK를 기다리는 상태 |
CLOSING | 양쪽이 동시에 닫기로 한 상태 |
데이터 링크 계층은 전선, 광섬유, 무선 등으로 실질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며 장치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이다.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나누기도 한다.
물리 계층: 무선 LAN과 유선 LAN을 통해 0과 1로 이뤄진 데이터를 보내는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이더넷 프레임을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의 에러를 검출하고 캡슐화한다.
이더넷 프레임의 구조
계층 간 데이터 송수신 과정 (캡슐화 / 역캡슐화)
- HTTP를 통해 웹 서버에 있는 데이터를 요청한다면, 응용 계층에서 전송 계층으로 사용자가 보내는 요청(request)값들이 캡슐화 과정을 거쳐 전달되고, 다시 데이터 링크 계층을 통해 해당 서버와 통신하고, 해당 서버의 링크 계층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까지 비캡슐화 과정을 거쳐 데이터가 전송된다.
캡슐화 과정(encapsulation)
응용 계층의 데이터가 전송 계층으로 전달되면서 ‘세그먼트’ 또는 ‘데이터그램’화 되며 TCP(L4) 헤더가 붙여지게 된다.
인터넷 계층으로 가면서 IP(L3) 헤더가 붙여지게 되며 ‘패킷’화가 된다.
링크 계층(네트워크 접근 계층)으로 전달되면서 프레임 헤더와 프레임 트레일러가 붙어 ‘프레임’화 된다.
응용 계층 → | 전송 계층 → | 인터넷 계층 → | 링크 계층 → | 물리 계층 |
---|---|---|---|---|
데이터(메시지) | 세그먼트(데이터그램) | 패킷 | 프레임 | 비트 |
비캡슐화(역캡슐화) 과정(decapsulation)
캡슐화된 데이터를 받게 되면 링크 계층(네트워크 접근 계층)에서부터 타고 올라오면서 ‘프레임’화된 데이터는 인터넷 계층으로 간다.
인터넷 계층에서 ‘패킷’화 된다.
전송 계층에서 ‘세그먼트’ 또는 ‘데이터그램’화를 거친다.
응용 계층에서 ‘메시지’화가 되는 역캡슐화 과정이 일어난다.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애플리케이션의 ‘PDU’인 메시지로 전달된다.
물리 계층 → | 링크 계층 → | 인터넷 계층 → | 전송 계층 → | 응용 계층 |
---|---|---|---|---|
비트 | 프레임 | 패킷 | 세그먼트(데이터그램) | 데이터(메시지) |
헤더
(제어 관련 정보 포함)와 페이로드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계층마다 부르는 명칭이 다르다.Reference.
나무위키 - https://namu.wiki/w/TCP/IP
서적 - 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노트
https://medium.com/@kusal95/tcp-3-way-handshake-process-1fd9a056a2f4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m_temp1=2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