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틀린에서는 함수를 일급 객체로 다룸일급 객체란 변수에 함수를 할당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람다식은 중괄호 안에 실행 코드가 들어간 익명 함수라 할 수 있음.람다식은 중괄호 안에 → 넣음화살표 왼쪽은 파라미터, 오른쪽은 실행코드!람다식에는 함수의 이름이 없음. (어차피
클래스는 '값'과 그 값을 사용하는 '기능'들을 묶어 놓은 것고유의 특징 값 <속성> + 기능 구현 <함수>클래스를 이용해서 만들어 내는 서로 다른 속성의 객체를 지칭.객체지향의 기본 구조 + 함수형 언어의 장점 = 코틀린: 새로운 인스턴스를 만들기 위해 호
수퍼 클래스에서 허용한다면 서브 클래스에서 같은 이름과 형태로 된 함수의 내용을 다시 구현할 수 있음\-수퍼클래스에서는 함수의 구체적인 구현은 없고, 단지 Animal의 모든 서브클래스는 eat이라는 함수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는 점만 명시각 서브 클래스가 비어있는 함수
자바에서는 A클래스 안에 B클래스를 정의하면 B클래스는 자동으로 A클래스의 내부 클래스가 되어 A클래스 안의 객체를 참조할 수 있다.코틀린에서는 이 경우 기본적으로 ⭐️중첩 클래스⭐️가 된다.내부 클래스로 만들고 싶으면 inner 를 붙여 클래스를 선언해야 한다.내부
💟 이슈 내용Ui 구현하는데, api로 순위가 1,2,3 순으로 내려오는데, 디자인은 2,1,3으로 시안이 나옴처음엔 2,1,3 을 따로 그리고, 데이터를 랭킹으로 비교해서 추출해서 넣을까 했는데, rankList로 내려오다보니 LazyRow를 사용해서 아이템을 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