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일러 피의 핵심 이론]
1. 구하고자 하는 오일러 피의 범위만큼 리스트를 자기 자신의 인덱스 값으로 초기화한다.
2. 2부터 시작해 현재 리스트의 값과 인덱스가 같으면(= 소수일 때) 현재 선택된 숫자(K)의 배수에 해당하는 수를 리스트 끝까지 탐색하며 P[i] = P[i] - P[i]/K 연산을 수행한다. (i는 K의 배수)
3. 리스트의 끝까지 2번 과정을 반복하여 오일러 피 함수를 완성한다.
시간 제한 1초, 골드 I, 백준 11689번
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 GCD(n, k) = 1을 만족하는 자연수 1 ≤ k ≤ n 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첫째 줄에 자연수 n (1 ≤ n ≤ 10^12)이 주어진다.
10 # n
GCD(n, k) = 1을 만족하는 자연수 1 ≤ k ≤ n 의 개수를 출력한다.
4
n(소인수 표현) result(결괏값)
for 2 ~ n의 제곱근:
if 현재 값이 소인수라면:
결괏값 = 결괏값 - 결괏값 / 현재 값
n에서 현재 소인수 내역을 제거((2^7)*11*13 -> 현재 소인수가 2일 때 11*13으로 변경)
if n > 1: # n이 마지막 소인수일 때
결괏값 = 결괏값 - 결괏값 / n
결괏값 출력
import math
N = int(input())
result = N
for p in range(2, int(math.sqrt(N)) + 1): # 제곱근까지만 진행
if N % p == 0: # p가 소인수인지 확인
result -= result / p # 결괏값 업데이트
while N % p == 0: # (2^7)*11이라면 2^7을 없애고 11만 남김
N /= p
if N > 1: # 반복문에서 제곱근까지만 탐색했으므로 1개의 소인수가 누락되는 케이스 처리
result -= result / N
print(int(result))
[MOD 연산으로 구현하는 유클리드 호제법]
1. 큰 수를 작은 수로 나누는 MOD 연산을 수행한다.
2. 앞 단계에서의 작은 수와 MOD 연산 결괏값(나머지)으로 MOD 연산을 수행한다.
3. 2번 과정을 반복하다가 나머지가 0이 되는 순간의 작은 수를 최대 공약수로 선택한다.
시간 제한 1초, 실버 V, 백준 1934번
두 자연수 A와 B에 대해서, A의 배수이면서 B의 배수인 자연수를 A와 B의 공배수라고 한다. 이런 공배수 중에서 가장 작은 수를 최소공배수라고 한다. 예를 들어, 6과 15의 공배수는 30, 60, 90등이 있으며, 최소 공배수는 30이다.
두 자연수 A와 B가 주어졌을 때, A와 B의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1 ≤ T ≤ 1,000)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T개의 줄에 걸쳐서 A와 B가 주어진다. (1 ≤ A, B ≤ 45,000)
3 # 테스트 케이스 개수 1 45000 # A, B 6 10 13 17
첫째 줄부터 T개의 줄에 A와 B의 최소공배수를 입력받은 순서대로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45000 30 221
# 최대 공약수 gcd() 함수 구현
gcd(a, b):
if b가 0이면:
a가 최대 공약수
else:
gcd(작은 수, 큰 수 % 작은 수) # 재귀 함수 형태로 구현
t(테스트 케이스)
for t만큼 반복:
a(1번째 수) b(2번째 수)
결괏값 = a * b / gcd(a, b)
결괏값 출력
def gcd(a, b):
if b == 0:
return a
else:
return gcd(b, a % b) # 재귀 형태로 구현
t = int(input())
for i in range(t):
a, b = map(int, input().split())
result = a * b / gcd(a, b)
print(int(res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