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한 내용
전체 코드 : 💾
_ent.html.png)

<button> : inline-block 요소의 성격

<i> : inline 요소

<a> 안에 <a>가 들어갈 수는 없음 -> <a>가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음ex)
<h1><h1></h1><h1>    (x)
<a><a></a></a>       (x)

box-sizing: border-box; : 공간의 크기가 border 까지 포함된 크기로 정의#ent-main .ent-left #ent-section-9 li img {
	width: 200px;
	height: 122px;
}

-> 따라서 width: 100%;를 사용해 주어야 함.

📌 학습내용 중 어려웠던 점
📌 해결방법
📌 학습소감
전체적으로 쉽게 따라갔다. 중간에 display 속성을 자주 사용되는 것 같아 inline 요소의 특징을 가진 태그들과 block 요소의 특징을 가진 태그들을 따로 정리해보는 게 좋을 것 같아 확인해 보았다. (참고 페이지 : https://uxgjs.tistory.com/44 ) 코드가 길어지고, 가끔 오늘과 같은 긴 페이지들이 등장해서 이제 velog에 작성하는 방식에도 조금 변화를 줘야할 것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