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S_codes_time series_1

TEMP·2021년 9월 20일
0

SAS

목록 보기
4/13
post-custom-banner

http://statwith.com/
설명 잘되어 있는 사이트
https://documentation.sas.com/api/collections/pgmsascdc/9.4_3.5/docsets/grstatproc/content/grstatproc.pdf?locale=en#nameddest=n0yjdd910dh59zn1toodgupaj4v9
공식문서

SAS는 proc 안의 문장을 행별로 따르게 된다.

1. Base Code

data fig1_1;
do t=1 to 200;
z=5000+2*rannor(12);
output;
end; run;

rannor 정규분포로 부터 난수 생성.
https://wikidocs.net/31084
dooutput이 필요하다.
음... 원래 output이 default이지만(거의 모든 proc에서는) 여기에서는 default가 아니라고 생각하면 될듯.


data fig1_1;
set aaa.fig1_1;
date=intnx('month','1jan80'd,_n_-1);
format date monyy.; run;

intnx('month','1jan80'd,_n_-1)
INTNX (interval<multiple><.shift-index>, start-from, increment<,alignment>)
1jan80'd 을 시작으로 month간격으로 자동변수n만큼 증가해서 추가해라.


proc sgplot data=fig1_1;
series x=date y=z;
refline 5000/ axis=y; run;

https://documentation.sas.com/doc/en/pgmsascdc/9.4_3.5/grstatproc/n0yjdd910dh59zn1toodgupaj4v9.htm
reference line을 그리는데 x축과 평행하게 즉, y=5000이 되게끔


data fig1_2;
do t=1 to 200;
x=0.5*t;
z=0.5*t+10*rannor(12);
output;
end; run;

1 ~ 200 까지 위와같은 규칙으로 자료를 생성한다.
output주의 하자.


proc sgplot data=fig1_2;
series x=date y=z/lineattrs=(color=blue);
series x=date y=x/lineattrs=(color=red);
run;

https://documentation.sas.com/doc/en/pgmsascdc/9.4_3.5/grstatproc/n1jkqnmk6y6ms9n1b2vvubyzqd4a.htm
해당선의 atrribute를 지정해준다고 생각하면 될듯.


data fig1_5;
  infile 'D:\UOS_2021_2\time_analysis\SAS_codes\data\koreapass.txt';
  input z @@;
  date=intnx('month','1jan81'd,_n_-1);
  format date monyy.; run;
proc sgplot;
  series x=date y=z; run;
data fig1_6;
  do t=1 to 120;
    a=rannor(4321);
    if t <= 60 then x=0.5*t;
    else x=2*(t-46);
    z=x+a; output;
  end; run;

do 는 python의 iterator이다 끝.


2.2 다항추세모형

  • 말 그대로 추세는 그래프의 전반적인 방향성이다.
  • 그냥 단순회귀분석이라고 생각하면 쉽고 이를 base line으로 하여 시계열에서의 특징이 들어간 계절성등을 추가해주는 작업이 회귀와 시계열의 차이정도라고 보면 될듯한다.
  • 즉 시계열에서의 추세성분은 단순 회귀분석으로 구하면 된다.

2.2.2 추세성분만을 갖는경우 (선형과 2차)

데이터 불러오기

data pop;
infile "D:\UOS_2021_2\time_analysis\SAS_codes\data\population.txt";
input pop @@;
pop=round(pop/10000);
t+1;
year=1959+t;

년도별 자료 이므로 그냥 초기년도 지정 해 주고 너머지는 더한다.
굳이 t 안쓰고 자동변수 사용해도 되는데 그냥 t 사용하자.
이때도 행별 연산이므로 t+1만 해주면 각 행별로 더해지게 된다.
sas data procedure에서는 for문이 default라고 생각하는것이 좋다.

plot

proc sgplot data=pop;
series x=year y=pop/ markers markerattrs=(symbol=asterisk);
xaxis values=(1960 to 1995 by 5);
run;

sas에서의 AAA / BBB 는 보통 AAA를 구할때 option으로 BBB를 사용하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markers를 찍을 것이고 markers의 attribution으로 *를 지정해준다는 의미이다.
다음 x축의 범위를 지정해 준다.

이분산성이 발견되어 ln추가

분산안정화 변환(상수화변환)

data pop;
set pop;
lnpop=log(pop);
t2=t*t;
run;
proc sgplot data=pop;
series x=year y=pop / markers  markerattrs=(symbol=asterisk);
xaxis values=(1960 to 1995 by 5); run;

단순 회귀분석(이것이 추세분석이다.)

proc reg data=pop;
model pop=t / dw;  
output out=out1 p=pred1 r=residual1; run;

결과를 out1이라는 이름으로 저장하고 변수p는 pred1이라는 이름으로 저장하라.
output은 저장해라 이고 이름을 out=out1의 방식으로 지정해줘라 라는 의미이다.
다음 예측값이나 잔차같은 값들도 저장하라는 의미이다.

Residual plot

/*위에서 저장한 residual 시계열plot*/
proc sgplot data=out1;
series x=year  y=residual1/ markers  markerattrs=(symbol=square);
xaxis values=(1960 to 1995 by 5); 
refline  0 / axis=y; run;

단순회귀 추가사항

proc reg data=pop ;
model pop=t/dw partial r p clb cli influence ;
plot npp. *rstudent.;     
ods output outputstatistics=name_2 ; 
run; quit;

model 뒤에 붙으면 print이고 output out에 붙으면 저장인데 아래처럼 ods output을 하면 다 저장. 추가적으로 normal plot

residual plot에서 곡선의 형태를 띄므로 제곱항 추가

/* 변수 추가되면 아래와 같이 추가적으로 그림 그려서 보면 한번에 보임 */
proc reg data=pop;
model pop=t t2/ dw p r;  
plot rstudent. *(predicted.);
plot npp. *rstudent.;
output out=out2 p=pred2 r=residual2; run; quit;

이차항을 추가한 추세모형이다

/*predict plot*/
proc sgplot data=out2;
series x=year y=pop/ markers markerattrs=(symbol=circle);
scatter x=year y=pred2 / markerattrs=(symbol=plus);
xaxis values=(1960 to 1995 by 5); 
yaxis label="pop"; run;
/*residual plot*/
proc sgplot data=out2;
series x=year  y=residual2/ lineattrs=(pattern=1 color=black thickness=1) 
markers  markerattrs=(symbol=star color=black size=5);
xaxis values=(1960 to 1995 by 5); 				 
refline  0 / axis=y;  run;

이분산성 해결 (위에서는 그냥 추가만 해놓은거임.)

proc reg data=pop;
model lnpop=t t2/ dw;
output out=out3 r=residual3; run;

분산안정화 변환을 하기위헤 ln항으로 바꾸어 분석

proc sgplot data=out3;
series x=year y=residual3  / lineattrs=(pattern=1 color=black thickness=1) 
markers  markerattrs=(symbol=diamondfilled color=black size=5);
xaxis values=(1960 to 1995 by 5); 
refline  0 / axis=y; run;
/*분산이 안정화(상수화)되었긴 한데 아직 자기상관성 +로 남아있다.*/

2.2.4 계절성분과 추세성분을 동시에 갖는 경우 (Indicator function)

위에서는 추세성 즉 대체적으로 어떠한 그래프를 따른다 라는 것을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것이다.
하지만 시계열 자료의 특징중 하나인 계절성을 표현하지 못한다.(주기성이라고 이해하면 편함)
따라서 위의 회귀모델로는 표현 할 수 없는 계절성을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 다룬다.

Data

data dept;
infile 'D:/UOS_2021_2/time_analysis/SAS_codes/data/depart.txt';
input dept @@;
t+1;
run; proc print; run;
proc sgplot data=dept;
series x=t y=dept/ markers markerattrs=(symbol=asterisk);
xaxis values=(1 to 60 by 3);
run;

계절성; 여기에서는 1-12월을 계절성으로 할 것이므로 12개의 indicator function을 아래와 같이 추가해준다.

/*날짜 형식으로 맞춰주고 indicator func 추가 ln추가*/
/*주기성을 month로 잡을 것이니 mon을 추출 , _n_ 자동변수이고 t라고 해도 같다. t지정했는데 굳이 ?*/
data dept;
set dept;
lndept=log(dept); t+1; 
date=intnx('month','1JAN84'D,_n_-1);  format date Monyy.;
mon=month(date);
if mon=1  then i1=1;  else i1=0;
if mon=2  then i2=1;  else i2=0;
if mon=3  then i3=1;  else i3=0;
if mon=4  then i4=1;  else i4=0;
if mon=5  then i5=1;  else i5=0;
if mon=6  then i6=1;  else i6=0;
if mon=7  then i7=1;  else i7=0;
if mon=8  then i8=1;  else i8=0;
if mon=9  then i9=1;  else i9=0;
if mon=10 then i10=1; else i10=0;
if mon=11 then i11=1; else i11=0;
if mon=12 then i12=1; else i12=0; 
run; proc print; run;
proc sgplot;
series x=date y=dept / markers markerattrs=(symbol=dot); run;

그려보니 이분산성이 발견되어 미리 ln항을 추가해주는 것이 좋다.

미리 분산안정화

proc sgplot;
series x=date y=lndept / markers markerattrs=(symbol=dot); run;

modeling

proc reg;
model lndept=t i1-i12/noint dw;
plot rstudent. *(predicted.);
plot npp. *rstudent.;
output out=deptout r=residual; run; quit;

보면 변수로 시간t와 12개의 지시함수가 들어가 있다.
이렇게 하여 추세 + 계절성의 model을 만들 수 있다.

Residual Plot

proc sgplot data=deptout;
series x=date  y=residual / markers  markerattrs=(symbol=circlefilled);
refline  0 / axis=y; run;
/*자기상관성문제는 아직 남아있다.*/

이렇다고 해서 완벽한것은 아니다.
당영히 완벽할 수는 없지만(overfitting) 잔차그림을 그려보니 어느정도의 연관성이 있는거 처엄 보이고 이는 아래의 자기상관계수이다.
즉 같은 변수의 시점간의 상관성이 있는것이다.
상관서잉 있다는 말은 예측이 가능하다는 것인데 이것이 잔차로 들어가 있으니 model로 옮겨 주어야 한다.
자기상관성을 model로 옮기는 것은 뒤에서 다룬다.

자기상관계수

proc arima data=deptout; identify var=residual; run;
/*Autocorrelations 부분이 k-차 자기 상관 계수 이다.*/

위와같이 자기상관계수만을 계산 할 수 있다.

2.3 비선형추세모형

뭐 그냥 비선형일 뿐이다.

Data

data catv;
infile 'D:/UOS_2021_2/time_analysis/SAS_codes/data/catv.txt';
input catv @@;
t+1; 
year=1969+t;
k=70000000;
lncatv=log(k/catv -1);   비선형의 부분이다.
run; proc print ; run;
proc sgplot;
series x=year y=catv  / markers markerattrs=(symbol=asterisk); 
xaxis values=(1970 to 1995 by 5); run;
proc sgplot;
series x=year y=lncatv  / markers markerattrs=(symbol=asterisk);
xaxis values=(1970 to 1995 by 5); 
yaxis values=(-2 to 3 by 1); run;

modeling

proc reg data=catv ;
model lncatv=year/ dw;
output out=out1 pred=p; run; 

잔차그림에서 자기상관성이 보인다.

data out1; 
set out1;
p1=k/(exp(p)+1);   비선형
residual=catv-p1; run;

proc sgplot;
series x=year y=catv  / lineattrs=(pattern=1 color=black)
markers markerattrs=(symbol=circlefilled color=black)
legendlabel="catv"; 
series x=year y=p1  / lineattrs=(pattern=2 color=blue)
markers  markerattrs=(symbol=starfilled color=blue)
legendlabel="forecast"; 
xaxis values=(1970 to 1995 by 5); run; 

/*잔차그림*/
proc sgplot data=out1;
  series x=year y=residual/ markers markerattrs=(symbol=circlefilled);
  xaxis values=(1970 to 1995 by 5);
  yaxis values=(-4000000 to 3000000 by 1000000);
  refline  0 / axis=y; run;


proc nlin data=catv method=gauss noitprint;
  parms k=70000000 b0=2 b1=0;
  temp=exp(b0+b1*t);
  model catv=k/(1+temp);
  output out=tvout pred=p r=residual; run;  

2.4 자기회귀오차모형(추세+계절)

앞에서 말한 자기상관성을 model에 넣어주는 방법이다.

다시 보자.
단순 회귀분석으로 추세성을 찾고 부족하여 indicator variable을 이용하여 추세성 + 계절성의 model을 만들었다.

이후 잔차분석을 해보니 오차의 자기 상관성, 즉 하나의 변수인 오차이지만 시차별로 상관성이 있는것이 발견되어 이를 model로 옮겨주려 한다.

proc autoreg data=dept;
model lndept=t i1-i12/ noint backstep nlag=13  dwprob;
output out=out1 r=residual; run;

위 code가 자기회귀 오차 모형이다.
결과를 보면 두개의 model로 볼 수 있다.
SAS 결과창을 순서대로 보자.

  • Parameter Estimates : 이건 자기상관 신경 안쓰고 그냥 proc reg한거랑 결과가 같다.(해봄)
  • Estimates of Autocorrelations : 이는 13시차 보두에 대한 자기상관계수를 구한 것이다.
  • Backward Elimination of Autoregressive Terms : 이는 자기회귀계수가 유의하지 않음을 순서대로 보여준다.
  • Estimates of Autoregressive Parameters : 이는 위에서 유의 하지 않은 시차를 제외하고 유의 하다고 판단 된 시차를 선택하여 다시 proc reg를 하여 회귀분석을 한것이다.(이건 안해봤는데 개념상 맞을듯)
  • 'Parameter Estimates' : 가장 위의 ㅠㅛ와 제목을 같지는 이는 자기상관계수를 포함하여 계산한 parameter이다.

proc sgplot data=out1;
series x=date y=residual / markers markerattrs=(symbol=dot);
refline  0 / axis=y; run;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