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이다.
다시 말하면,
1) HyperText: HTML로 만든 웹페이지를
2) Transfer: 전송하는 (엄밀히 마하면 주고 받는)
3) Protocol: 약속(통신규약) 이란 뜻을 가진다.
Transfer에는 보내는 주체와 받는 주체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인스타그램에 접속해 친구의 인스타그램 스토리를 클릭한다면, 그 순간 컴퓨터는 서버에 "그 친구의 스토리를 보여달라"는 요청을 보내게 된다. 이 요청을 처리한 후 다시 내 컴퓨터에 응답을 보내면 마침내 친구의 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문자 그대로 번역하면 State(상태)+less(없음)을 의미한다. 이 말은 각각의 HTTP 통신(요청/응답)은 독립적 이기 때문에 과거의 통신(요청/응답)에 대한 내용을 전혀 알지 못한다는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매 통신마다 필요한 모든 정보를 담아서 요청을 보내야한다.
1. Start Line: 요청의 첫번째 줄에 해당하며, 이 부분도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 HTTP Method: 해당 요청이 의도한 액션을 정의하는 부분. 주로 GET, POST, DELETE가 많이 쓰임
2) Request target: 해당 request가 전송되는 목표 url
3) HTTP Version: 말 그대로 사용되는 HTTP 버전을 뜻한다. 주로 1.1 버전이 널리 쓰임
2. Headers: 해당 요청에 대한 추가 정보(메타 데이터)를 담고있는 부분이다.
3. Body: 해당 요청의 실제 내용
1. Status Line: 응답의 상태 줄이다. 응답은 요청에 대한 처리상태를 클라이언트에게 알려주면서 내용을 시작한다. 응답의 Status Line 도 3 부분으로 구성된다.
1) HTTP Version: 요청의 HTTP버전과 동일
2) Status Code: 응답 메세지의 상태 코드
3) Status Text: 응답 메세지의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해주는 텍스트
2. Headers: 요청의 헤더와 동일하다. 응답의 추가 정보(메타 데이터)를 담고있는 부분이다. 다만, 응답에서만 사용되는 헤더의 정보들이 있다. (ex. 요청하는 브라우저의 정보가 담긴 User-Agent 대신, Server 헤더가 사용된다.)
3. Body: 요청의 Body와 일반적으로 동일하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Body 의 데이터 타입은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이다.
(축약된 요청 메세지) POST /shop/bag HTTP/1.1 Headers: { "HOST": "https://www.apple.com/kr" "Authroization": "kldiduajsadm@9df0asmzm" (유저가 본인임을 증명할 수 있는 인증/인가 토큰) } Body: { product: { "productId": 30 "name": "12.9형 iPad Pro Wi-Fi + Cellular 128GB" "color": "스페이스 그레이" "price": "₩1,499,000" "quantity": 1 } } (축약된 응답 메시지) HTTP/1.1 201 SUCCESS Body: { "message": "SUCCESSFULLY CARTS UPDA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