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문은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작성한다.
if (A조건문) { A조건이 맞으면 실행될 코드 } else if (B조건문) { B조건이 맞으면 실행될 코드} else { 위의 조건이 모두 안맞으면 실행될 코드}
if문에서는 And를 뜻하는 && 연산자와 Or를 뜻하는 || 연산자를 통해 복합 조건문을 만들 수 있다.
아래와 같이 여러개의 논리연산자를 나열할 경우에는 왼쪽부터 해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if (age > 65 || age < 21 && res === "한국")
즉, 위 코드는 65세 초과 이거나 21세 미만이면서 한국에 사는 사람을 의미한다. 헷갈릴 수 있으니 괄호로 묶어주는 습관을 가질 것~
switch문도 if문과 같이 조건에 따라 다른 결과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한다.
switch(expression) { case A: // 조건이 맞을 경우 실행될 코드 break; case B: // 조건이 맞을 경우 실행될 코드 break; default: // 조건이 맞을 경우 실행될 코드 }
💥 주의할 점
break를 삽입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조건 매치여부와 상관없이 다음 case가 실행되기 때문case에서는 break를 생략할 수 있다.default는 어떠한 case와도 매치되지 않을 때 실행할 코드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