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ilwind CSS의 CDN 방식과 CLI 방식으 차이를 알아보자.
Tailwind CSS를 처음 학습해보는 상황이나 아주 간단한 프로젝트에 적합한 방식이다.
HTML에 <script src="https://cdn.tailwindcss.com"></script>
만 넣으면 Tailwind CSS를 사용해볼 수 있다.
장점
설치 필요 없이 바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간단한 테스트를 진행하거나 프로토타입 작업, 개인 실습 등에 유용하다.
단점
최적화 되어있지 않은 모든 Tailwind CSS 유틸리티가 다 로드되기 때문에 CSS 파일의 크기가 크다.
taillwind.config.js
와 같은 커스터마이징이 불가하며, 별도의 빌드 과정이 없어 실제 서비스로 사용하기엔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실제 프로젝트에 많이 사용하고 배포에 용이하다.
npm install tailwindcss
를 이용하여 설치 후 CLI로 빌드하면 필요한 클래스만 추출할 수 있다.
장점
tailwind.config.js
를 이용하여 색상이나 폰트, breakpoints 등을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다.
사용하지 않는 CSS는 자동으로 제거되어 CSS 용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빌드 파이프라인에서 PostCSS, Autoprefixer 등을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로딩이 빠르고 유지보수에 용이하기 때문에 실무 프로젝트에 적합하다.
단점
설치하고 빌드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Node.js, npm 설치가 필수다.
처음 설정하는 방법이 CDN보다 복잡하다.
위에 작성한 두 방식의 차이를 표로 비교해보자
구분 | CDN | CLI |
---|---|---|
설정 난이도 | 매우 쉬움 | 중간(설치와 빌드 필요) |
사용 목적 | 빠른 테스트, 실험, 초기 학습 | 실제 프로젝트, 배포 |
CSS 크기 | 매우 큼(Taiwind CSS 전체 유틸리티 포함) | 최소화(사용한 클래스만 포함) |
커스터마이징 | 불가능 | 가능(tailwind.config.js ) |
성능 최적화 | 부족 | 뛰어남(PostCSS, Autoprefixer 등 사용 가능) |
tailwind.config.js
와 같은 빌드타임 설정을 쓸 수 없고, 기본 Tailwind만 제공된다.tailwind
만 사용이 가능하다.@tailwindcss/forms
나 @tailwindcss/typography
와 같은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없다.package.json
에 버전을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팀원이나 서버 환경에서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bg-red-500
이후에 bg-blue-500
을 작성하더라도 bg-red-500
색상이 적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