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lidity작업은 끝났습니다.Autcion은 오프체인에서 다루고 거래가 되면 컨트랙트에서 NFT와 Token의 양을 이동시켜주는 방향으로 방향을 잡았습니다.문제는 마이그레이션을 할수가 없습니다....코드 이름, 폴더 이름이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고작성한 코드 자체
발표 자체를 web3가 아닌 caver-js로 마이그레이션 해달라는 요청이 들어와서 코드를 좀 다 뜯어 고쳐서 DAO형태로 프로젝트를 수정하고자 합니다.간략하게 생각을 해보았고 수정이 될 수도 있습니다.일단 기본적으로 Token은 바로 지급이 되게 만들것 입니다.모든
아마 마지막으로 작성하는 부분이 될꺼 같고 이제는 Golang을 공부할것 같습니다.이번 글은 코드적인 부분보다는 좀 이런 부분을 추가하려고 하고 있다?? 이런 내용이 될것 같고 내용은 Youtube를 참고하였습니다.Uniswap에서도 활용하고 있으며 아직은 불완전한 형
쉽게 말해서 알람시간을 정해서 특정 시간 이후에 트랜잭션을 실행시키는 것을 말합니다.음... 좀 이해가 쉽게 현실에서 사용되는 예시를 들어보자면이런 식으로 활용가능합니다.처음에는 아 이런게 있구나!! 코드부터 보자! 라는 방식으로 접근을 하였는데 백그라운드 정보가 없다
이번에는 ERC-20과 또다른 Defi 스시스왑에 대해서 간략하게 다시 공부를 하였습니다.이떄까지 인터페이스라는 역할은 단수히 메뉴판의 역할을 한다고 생각을 하였습니다.어떠한 함수, 이벤트 등이 있고 부수적으로는 에러코드 또한 작성을 해놓고 사용이 가능한 형태로 생각을
가스비를 절감하는 코드는 사용자들에게 많은 유익함을 줍니다.가스비 절감이 실질적으로 수수료를 절감시키는 행위가 되기 떄문입니다.실제로 Uniswap에서 가장 낮은 스왑 수수료를 지원하고 있는 이유가앞으로 말할 내용떄문입니다.Solidity는 스택이라는 메모리 구조안에
일단 제가 저번에 생각하고 고민했던 내용은 크게 틀리지 않았습니다.transferFrom자체가 서로가 공동으로 인지할수 있는?? 중간 지점에 돈을 저장하고저장한 금액에 한에서 다른 사용자가 인출하는 시스템입니다.이와 같은 원리로 이해를 해보자면저번글에서 적은 스테이킹함
단순히 컨트랙트만 작성을 하였습니다.원래는 Swap을 좀 유동적으로 하는 풀을 구성해 보고자 하였습니다.그러기 위해서 Uniswap Github를 뒤적뒤적 거렸지만생각보다 복잡하고.. 어떤식으로 작성을 해야할까 고민을 하던중에좀더 내가 접근 가능하고 스스로 완전히 이해
일단 ERC-20토큰을 수정하는 부분까지는 완성을 하였습니다.기존의 minting시스템 보다는 Token의 CA값에 Token의 양을 저장하고Solidity를 통해서 토큰을 지급하는 형태로 바꾸었습니다.이게 좀더 Swap이라는 용어에 어울린다고 생각을 하였습니다.아직까
Youtube : https://www.youtube.com/watch?v=wFsZcg-ITy8github : github는 후에 업로드 예정다음글은 후기글이 될예정!
🔥 개요 별다른 코드적인 작업은 하지 않았고 앞으로 어떤 기능을 추가해야 할지 어떻게 오류를 잡아야 할지에 대해서 고민을 해보는 시간이 있었습니다. 사실상 트랜잭션이 실패해도 서버가 계속 돌아가려면 try-catch를 통해서 작동 시키면 되지만 이전에 실패했던
Youtube : https://www.youtube.com/watch?v=ekY_IWcQ3k4&t=303s 코드 개선을 하여 지금은 공격부분도 정상적으로 작동 하고 있습니다 🔥 개요 음... 일단 어느정도로 구현을 해보고 싶은 부분은 모두 구현을 하였습니다.
현재에는 거래소쫌 부분을 좀더 css작업을 해놓았습니다.음.. 일단 프론트와 백엔드를 혼자서 작업을 다해버리다 보니 조금 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그렇게 막 만족스럽지도 않고요..ㅠㅠ그래도 이번 프로젝트는 좀 최대한 많은것을 구현해보고자 혼자서라도 최대한 진행중 입니다.이
오늘은 간단하게 css 작업과 캐릭터 능력치를 향상시켜주는 작업을 진행 하였습니다.즉 css, back_end 작업을 하였습니다.기본적으로 구현해야 하는 기능들은 모두 구현을 하였다고 생각을 하기 떄문에이제는 경매 부분을 구현해 보고자 합니다.solidity코드를 얼추
오늘은 빡쌔게 떙겨서 작업을 여러개 하였습니다.web3코드 작성 : Token, NFT 민팅css 작업 : 맵 디테일 페이지, Mypagenode.js : 랜덤값을 통한 뽑기 구현, DB수정 및 작성대략 이정도 되겠네요일단 웹사이트 자체에서 활용하고 있는 데이터는 DB
일단 솔리디티 코드 작성 작업이 끝나게 되었습니다.이더스캔에서 이름이 인식되지 않는 이유는 별게 아니였습니다일단 변경하는데에 시간이 필요하였습니다.즉 그냥 기다리면 되는 것...저는 함수 이름을 바꿔서 그런줄 알아서함수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 였습니다.하지만 이런식이면
주말에 일좀 있어서 개인적으로 볼일도 보고 월요일에는 서울을 갔다오느라 많은 작업은 하지는 못했습니다.그래도 이제 대략적은 작업은 거의다 진행이 되었습니다.일단 web3를 적용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DB적으로는 거의다 작성을 완료 하였습니다.하지만 아직 front부분은
현재에는 css부분과 MyPage부분을 좀더 수정을 하였습니다.일단 오늘한 작업은 생각보다 간다하면서도 어려운 부분입니다.기본적으로 OpenLogin을 통해서 Google로그인을 지원하였습니다.https://openlogin.com일종의 OAuth와 같이 사용
예전부터 P2E게임을 간단하게나마 만들어 보고 싶어서 팀장으로 출전하여 팀원을 모으고 프로젝트를 진행중 입니다.생각한 게임 상태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을 해보겠습니다.저희 팀이 최종적으로 지향하는 게임시스템은 스테이킹과 비슷합니다.전투를 통해서 영토를 차지하고 일정 시
Youtube : 시현 영상이 글은 프로젝트에 직접적으로 연관이 되어있는 글이 아닙니다.배치서버에 대한 공부를 부수적으로 하였고 이를 실습하는 영상을 기록하기 위하여 존재하는 글 입니다.감사합니다.코드는 전적으로 코드스테이츠를 참고 하였고 개인적으로 진행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