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기술 블로그가 아닌 하루하루 기록용 블로그]
post-thumbnail

Klaytn Docs - 2 [ 합의 알고리즘, 계정 ]

기존의 합의 알고리즘(PoW, PoS)는 완결성을 보장하지 못하고 확률적인 완결성을 보장하였습니다.즉 분기가 발생을 하게 됩니다.이러한 합의 알고리즘은 특히 송금 시스템에서는 적절하게 사용될 수가 없었고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자 Klaytn은 PBFT합의 알고리즘을 사용

2021년 12월 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laytn Docs - 1 [ 개요 ]

시간이 조금 붕 뜨는것 같아서 강제로 할것을 만들고자 가장 관심있게 보고 잇는 Klaytn을 차근차근 알아보았습니다.https://docs.klaytn.com/klaytnKlaytn은 이더리움에서 만들어 졌으며 최적환된 BFT 기반 퍼블릭 블록체인으로 안정성을

2021년 12월 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AS Docs - 7 [ KAS기반 BApp예시 서버 분석]

KAS Docs에서 다루고 있는 예시 코드를 분석함으로써 실제로 어떻게 사용이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명품을 등록하는 영수증을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코드이다. 내가 생각하는 부분으로 조금 수정을 하였고 직관적으로 볼 수가 있게 좀더 수정을 하였다. 틀릴수도 있다

2021년 12월 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AS Docs - 6 [ Node API 다루기 ]

지갑 API에 이어서 Node API를 다루는 시간을 가져보았다.JSON RPC요청을 해야 하기 떄문에 기본적잉ㄴ 규격에 의해서 파라미터들을 입력해 주어야 한다.PRC는 일단 KAS의 Node API와, EN로 구성이 되어있다.이떄 Node API는 클레이튼 생태계에서

2021년 11월 3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AS Docs - 5 [ Wallet API 다루기 ]

KAS API를 통해서 계정을 생성하는 방법을 정리한다.KAS DOCS - API를 참고 하였다.일단 기본적으로 우리는 KAS 콘솔에서 API를 다루지 않아도 생성이 가능하다.하지만 KAS는 기본적으로 API를 지향하는 서비스 이기 떄문에 API를 다루는 방법에 대해서

2021년 11월 3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AS Docs - 4

이번에는 KAS API에 다루어 보겠다.https://docs.klaytnapi.com/basics/apiAPI 인증키는 사용자가 본인이 맞는지를 증명하기 위해서 사용이 ㅇ된다.앞서 말했던 인증 키를 활용하게 된다.Security - Credential 메뉴에

2021년 11월 2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AS Docs - 3

이번 글에서는 KAS 콘솔이 제공하는 기능에 대해 적어보겠다.KAS Consolehttps://console.klaytnapi.com/ko/dashboard나의 KAS API사용량을 확인 가능하며 CoinGecko를 통해 KLAY 시세를 확인할 수 있는 메인

2021년 11월 2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AS Docs - 2

클레이튼 계정 키를 고객사 대신 보관, 관리하며 클레이튼의 다양한 트랜잭션을 API호출로 클레이튼에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직접 지갑을 구축하거나 계정 개인키를 관리하는 부담이 없으며, API호출만으로 트랜잭션을 바로 전송 가능하다.노출될 수

2021년 11월 2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AS Docs - 1

이번에는 KAS Docs의 내용을 하나하나 정리해보고자 한다.https://docs.klaytnapi.comKAS는 블록체인 플랫폼인 클레이튼을 API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KAS를 사용하면 기존 클레이튼의 서비스보다 더 쉽고 편하게 개발 가능하다.일반

2021년 11월 2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클레이튼(Klaytn)

카카오의 자회사인 그라운드엑스가 개발한 디앱을 위한 플랫폼이다.독립적인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이며 이더리움에 비해 탈중앙화를 포기하는 대신 디앱에 피룡한 실용성을 강화하였다.빠른 퍼블릭 블록체인을 목표로 하고 있다.서비스 지향 거버넌스 모델이며 모든 참여자가 플랫폼의

2021년 11월 14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