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검계측장비(Window GUI 프로그램)의 데이터분석 기능을 설계하라"
요구사항을 도출하기 위해 곧 10년 까까이 현업에 종사하신
HW 문책임님과 SW 최책임님을 인터뷰하였다.
제품 출고 전에 불량 셀을 걸러 교체하는 목적일 것인가?
A. 출고 전 뿐 아니라 출고 후에도 셀을 계속 모니터링해야한다.
셀 제조사에서 다 테스트해서 주기 때문에 갑자기 폭발한다던지 하는 불량 셀은 사실 많이 없다.
그보다도, 셀은 화학적 특성을 가지기에 열화(열변성)되는 속도 등이 개체별로 다를 수밖에 없고,
같은 전압을 줘도 점점 전압이 충방전되는 속도나 수명이 각기 다르게 나타난다.
그 문제를 일으킬 셀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한가?
A. 그렇게 각기 다를 수 있는 것을 고려하지 않고 전압을 주면 혼자 충전이 빨리 돼서 과충전되면 열폭주가 날 수도 있다. 문제가 생기는 셀은 보통 같은 전압을 줘도 빨리 충전되고 빨리 방전되어 과충전 과방전을 반복하게 되는 경우이다. 수명도 짧다. 전류를 줬을 때 생기는 IR drop 폭도 크다. 전압이 팍팍 튄다.
1C로 1시간 충전하면 0%에서 100%가 된다.
1C는 전류 값이다.
시스템을 파괴하지 않는, 즉 온도를 너무 높이지 않고
줄 수 있는 전류 제한선이다.
과충전은 열폭주, 과방전은 비가역적 파괴?
과방전은 배터리 내부 압력을 증가시키고 양극 및 음극 활물질의 가역 기능을 파괴하여 영구적으로 충전하지 못하게 된다.
리튬이온전지는 과방전시 극판의 표면이나 모서리에 Dendlite(침상형, 리튬금속 석출물, 도체)를 형성한다.
뾰족한 덴드라이트는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서 절연층을 형성하고있는 PE/PP 계열 분리막을 손상시킨다.
분리막이 손상되면, 충전량이 적을 때는 극판 간 절연상태를 유지해도,
만충되어 팽창하면 분리막을 뚫어 극판을 단락시킬 수 있다.
단락은 열폭주로 이어져, 어떤 보호회로 및 안전소자도 소용없이 극판의 전기에너지가 소모될때까지 지속된다.
이차전지의 기초에 대해 더 알고 싶으면 아래 링크로!
https://blog.naver.com/ysbyung98/222975813875
DOD가 같을 때, 높은 SOC 구간에서 충전하는 것과 낮은 SOC 구간에서 충전하는 것의 차이
높은 구간: 내부저항 낮아 용량 높고, 온도 높아 용량 높고, 전압 강하 적어 안정적
낮은 구간: 내부저항 높아 전압 강하 커 cut off 전압에 빨리 도달한다.
실제 용량 남아있어도 사용 불가
높은 구간에서는 저항이 적어 발열도 적어야 하지만 부반응 때문에 온도가 더 높다.
온도 높으면 다시 부반응 활발해져 악순환으로 인한 열폭주 위험이 커진다.
P = I2R
온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전류이다.
높은 전류로 (급속) 충전하는 것이 온도를 더 상승시킨다.
충전은 전기E -> 화학E(흡열 반응) 그러나 부반응이 더 큰 영향
방전은 화학E -> 전기E(발열 반응)
같은 크기의 전류면 충전이 온도를 더 상승시킨다.
최종상태
SOC
SOH
총 방전용량
총 충전용량
측정 전압(DCIR)
Cell Sum
모듈 별 SOC
모듈 별 SOH
그래프
전압전류
전압최대최소
온도최대최소
셀트레이 최대 온도 기록, 최대 전압 기록,
ㅁㅁㅁㅁㅁ ㅇ
ㅁㅁㅁㅁㅁ ㅇ
ㅁㅁㅁㅁㅁ ㅇ
ㅁㅁㅁㅁㅁ ㅇ
ㅇㅇㅇㅇㅇ ㅎ
24개 셀 4개 트레이 5개 모듈 표시
2개 체크박스 (전압, 온도)
5개 라디오 버튼 (최대, 최소, 평균, 최대편차)
배경색 시각화
트레이 대표값 요약
트레이별 대표셀, 대표값 표시
항목
셀 최대전압
셀 최소전압
셀 평균전압
셀 최대전압편차
셀 트레이내 최대전압기록횟수
셀 트레이내 최소전압기록횟수
셀 전압급상승폭 max(V(t)-V(t-0.5))
셀 전압급강하폭 min(V(t)-V(t-0.5))
셀 최대온도
셀 최소온도
셀 평균온도
셀 최대온도편차
셀 트레이내 최대온도기록횟수
셀 트레이내 최소온도기록횟수
모듈 대표값 요약
모듈별 대표트레이, 대표셀, 대표값 표시
항목
셀 최대전압
셀 최소전압
셀 평균전압
셀 최대전압편차
셀 트레이내 최대전압기록횟수
셀 트레이내 최소전압기록횟수
셀 최대온도
셀 최소온도
셀 평균온도
셀 최대온도편차
셀 트레이내 최대온도기록횟수
셀 트레이내 최소온도기록횟수
밸런싱 START 횟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