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안성진교수님 강의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PPP(Point-to-Point Protocol)
- PPP는 두 노드 간의 직접 연결을 설정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이다.
- 대부분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는 고객의 인터넷 전화 접속 엑세스에 PPP를 사용한다.
- 기존의 비표준 직렬 회선 인터넷 프로토콜(Serial Line Internet Protocol, SLIP)를 대체 했다.
- PPP는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에러여부 확인가능, 그 위에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또 올라갈 수 있다.
1) 프레임 형식

앞에서 한거에 프로토콜만 추가
control이랑 address는 값이 그냥 고정됨
protocol로 다음에 어디로(어느단계) 보낼지 판단한다.
payload가 결국 데이터!
- 주소 필드에는 모든 장치에 대한 16진수 FF값이 있다.
- 제어 필드의 값은 프레임에 순서 번호가 없고 흐름또는 오류 제어가 없음을 나타낸다.
- 프로토콜 필드는 데이터 필드에서 전달되는 내용을 정의한다.
2) 천이단계

- Carrier가 신호를 전달해서 그게 검출되면 PPP가 연결설정을 한다
- 연결을 하면 인증을 하게 되는데 이건 옵션이라 필요없으면 건너뛴다
- 인증되면 네트워크 연결(네트워크 수준의 연결 한번더!)
3) 다중화
- PPP가 비록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이지만 PPP는 링크를 수립하고 PPP는 링크를 수립하고 관련된 당사자를 인증하며 네트워크층 데이터를 옮기는 등 일련의 다른 프로토콜도 사용
- 링크제어 프로토콜 (LCP, Link Control Protocol): 링크의 설정, 유지, 형성과 해제를 담당
- 인증 프로토콜(AP, Authentication Protocol) : 자원들에 접근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의 신원을 증명
-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NCP, network Control Protocol) : 협상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과 링크 수립, 유지, 종료 수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