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깃...깃...깃.... 코린이+컴알못인 나...
처음 터미널 이용하여 깃과 깃허브 연동해서 프로젝트 푸시하기
이게 머여???? 일단 키생성부터좀 할게요~잠시만요!
푸시가 왜 안되는거에여? 어디 저장하라고? 아~아?! 이게 왜 올라가있지??
이게 된거라구요????아,,,,네~!
어려웠던 부분이 있습니까??? ㅎ눼???ㅎ 전.부.다.요.ㅎ
없다면 업로드 자체가 안되기 때문에 먼저 ssh키를 만들어야한다.
(처음 했을때 키설정으로 하루를 날렸다....ㅎㅎ)
💡 SSH 키는 원격 저장소와 안전하게 통신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먼저, 현재 사용자의 SSH 키 목록을 확인합니다.
일반적으로 SSH 키는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저장됩니다.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여 SSH 키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ls ~/.ssh
이 명령어는 SSH 디렉토리 내의 파일 목록을 보여줍니다.
일반적으로 id_rsa (비공개 키)와 id_rsa.pub (공개 키) 파일이 존재해야 합니다.
공개 키의 내용을 확인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cat ~/.ssh/id_rsa.pub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공개 키의 내용이 출력됩니다.
출력된 키를 복사하여 GitHub, GitLab 또는 다른 원격 저장소의 설정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만약 SSH 키가 없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여 SSH 키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ssh-keygen -t rsa -b 4096 -C "your.email@example.com"
Generating public/private rsa key pair.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기본 파일 경로 (/home/username/.ssh/id_rsa)를 그대로 사용하려면 Enter 키를 누릅니다.
키에 비밀번호를 설정할지 묻습니다. 비밀번호를 설정하지 않으려면 Enter 키를 누릅니다.
키 생성이 완료되면, ~/.ssh 디렉토리에 id_rsa와 id_rsa.pub 파일이 생성됩니다.
생성한 SSH 키를 원격 저장소에 추가하려면 공개 키 내용을 복사하여 원격 저장소의 설정 페이지에 추가합니다.
키설정이 문제없다!!!!키설정 & 레파지스토리까지 모두 문제없다!! 하면 준비 완.료

git init
현재 디렉토리를 Git 저장소로 초기화합니다. 이 명령어는 디렉토리 내에 .git이라는 숨김 폴더를 생성하여 Git이 관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git branch -M main
현재 브랜치의 이름을 main으로 변경합니다. Git의 기본 브랜치 이름이 과거에는 master였지만, 최근에는 main으로 변경하는 추세입니다. 이 명령어는 새로 초기화한 저장소의 기본 브랜치 이름을 설정합니다.
git add .
추적하려는 파일을 추가합니다. 여기서는 모든 파일을 추가합니다
git commit -m "커밋이름"
변경 사항을 커밋합니다
git remote add origin git@github.com:username/new-repository.git
원격 저장소를 추가합니다. <저장소주소>는 GitHub, GitLab, Bitbucket 등의 원격 저장소 URL입니다. 예를 들어, git@github.com:username/repository.git과 같은 형태입니다.
git push origin main
로컬 커밋을 원격 저장소로 푸시합니다
여기서 main은 기본 브랜치 이름입니다.
일부 프로젝트에서는 master 또는 다른 브랜치 이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새로운 프로젝트를 GitHub 또는 다른 원격 저장소에 처음으로 푸시할 때 유용합니다
git add .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변경된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합니다.
git commit -m "Another commit"
변경 사항을 커밋합니다. "Another commit"은 커밋 메시지로, 변경 내용에 대한 설명입니다.
git push origin main
기본적으로 설정된 업스트림 브랜치로 푸시합니다.
여기서는 main 브랜치로 푸시됩니다.
rm -rf .git
기존 Git 메타데이터를 삭제하여 모든 Git 기록과 설정을 제거합니다. 이 명령어는 Git의 히스토리와 설정만 제거하며, 로컬 파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git init
새로 Git 저장소를 초기화합니다.
git branch -M main
git add .
git commit -m "Initial commit for new project"
git remote add origin <새로운_저장소_URL>
git push -u origin main
📤 Git Push 가이드
📍 원격 저장소로 푸시하기
git push origin main # 기본적인 푸시 명령어📍 업스트림 설정 후 푸시
git push -u origin main # 해당 브랜치의 기본 업스트림 설정 후 푸시
- -u 옵션을 사용하면 이후 git push 만 입력해도 자동으로 같은 브랜치에 푸시됨
- 협업시 pull 받을때도 git pull 만 입력해도 자동으로 pull 받음
💡 git pull 명령어는 git fetch + git merge 축약어
🚨 주의사항
파일 및 변경 사항: rm -rf .git 명령어는 Git의 메타데이터를 삭제하므로, 로컬 파일이나 작업 내용은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그러나 모든 Git 히스토리와 설정이 삭제되므로, 이전 커밋 기록이나 브랜치 정보는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신중하게 사용 하여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