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까먹지 않기 위해 ? 기본용어를 정리해보려한다
1️⃣ var
var name = "Alice";
name = "Bob"; // 변수 값을 변경할 수 있음
2️⃣ let
let age = 25;
age = 26; // 변수 값을 변경할 수 있음
if (true) {
let insideBlock = "Inside block";
console.log(insideBlock); // "Inside block"
}
console.log(insideBlock); // 오류 발생! insideBlock은 블록 안에서만 유효
3️⃣ const
const PI = 3.14159;
// PI = 3.14; // 오류 발생! const로 선언된 변수는 값을 변경할 수 없음
const numbers = [1, 2, 3];
numbers.push(4); // 배열의 요소는 추가할 수 있음
console.log(numbers); // [1, 2, 3, 4]
{}를 사용해 객체를 정의합니다.const person = { name: "John", age: 30 };
[ ]를 사용해 배열을 정의합니다.
const colors = ["red", "green", "blue"];
if (age > 18) {
console.log("Adult");
} else {
console.log("Not an adult");
}
1️⃣ if
let temperature = 30;
if (temperature > 25) {
console.log("It's hot outside!");
}
(온도가 25도보다 높으면 "It's hot outside!"가 출력됩니다.)
2️⃣ else if
let temperature = 20;
if (temperature > 25) {
console.log("It's hot outside!");
} else if (temperature > 15) {
console.log("It's warm outside.");
}
(온도가 25도보다 높으면 "It's hot outside!"가 출력되고,
그렇지 않고 15도보다 높으면 "It's warm outside."가 출력됩니다.)
3️⃣ else
let temperature = 10;
if (temperature > 25) {
console.log("It's hot outside!");
} else if (temperature > 15) {
console.log("It's warm outside.");
} else {
console.log("It's cold outside.");
}
(온도가 25도보다 높으면 "It's hot outside!"가 출력되고,
15도보다 높으면 "It's warm outside."가 출력되며,
그 외에는 "It's cold outside."가 출력됩니다.)
for (let i = 0; i < 5; i++) {
console.log(i);
}
1️⃣ for 반복문
for (let i = 0; i < 5; i++) {
console.log(i);
}
(이 반복문은 i가 0부터 4까지 5번 반복되며, 각 값을 출력합니다.)
2️⃣ while 반복문
let i = 0;
while (i < 5) {
console.log(i);
i++;
}
(이 반복문은 i가 5보다 작은 동안 반복하며, i의 값을 출력하고 증가시킵니다.)
3️⃣ do...while 반복문
let i = 0;
do {
console.log(i);
i++;
} while (i < 5);
(이 반복문은 i가 5보다 작은 동안 반복하며, i의 값을 출력하고 증가시킵니다.
최소한 한 번은 코드 블록이 실행됩니다.)
1️⃣ 전위 증감 연산자 (Prefix Increment/Decrement)
let x = 5;
console.log(++x); // 6
여기서 ++x는 x의 값을 먼저 1 증가시킨 후, 증가된 값을 콘솔에 출력합니다.
2️⃣ 후위 증감 연산자 (Postfix Increment/Decrement)
let y = 5;
console.log(y++); // 5
console.log(y); // 6
여기서 y++는 y의 현재 값을 콘솔에 출력한 후, y의 값을 1 증가시킵니다.
그래서 첫 번째 console.log는 5를 출력하고, 두 번째 console.log는 6을 출력합니다.
button.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 {
console.log('Button clicked');
});
document.getElementById('myElement').innerText = "Hello World";
function makeCounter() { let count = 0; return function() { count++; return count; }; }
function fetchData(callback) {
setTimeout(() => {
callback("Data loaded");
}, 1000);
}
fetchData(function(data) {
console.log(data);
});
const promise = new Promise((resolve, reject) => {
setTimeout(() => resolve("Done"), 1000);
});
promise.then(result => console.log(result));
1️⃣ then(onFulfilled, onRejected)
let promise = new Promise((resolve, reject) => {
// 비동기 작업을 수행
let success = true; // 성공 여부를 결정
if (success) {
resolve("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 else {
reject("작업이 실패했습니다.");
}
});
promise.then(
(result) => { console.log("성공:", result); }, // 작업 성공 시 실행
(error) => { console.error("실패:", error); } // 작업 실패 시 실행
);
2️⃣ catch(onRejected)
promise.catch((error) => {
console.error("에러 발생:", error);
});
3️⃣finally(onFinally)
promise.finally(() => {
console.log("비동기 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
async function fetchData() {
const response = await fetch('https://api.example.com/data');
const data = await response.json();
console.log(data);
}
1️⃣ async 함수
async function fetchData() {
// 이 함수는 항상 프로미스를 반환합니다.
}
2️⃣ await 키워드
async function fetchData() {
const response = await fetch('https://api.example.com/data'); // 프로미스가 해결될 때까지 대기
const data = await response.json(); // JSON 데이터로 변환할 때까지 대기
console.log(data); // 데이터를 콘솔에 출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