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저장소 생성
2️⃣ 프로젝트 초기 구성 후 .gitignore 파일 추가
3️⃣ 환경설정 파일의 확장자 변경
예: application.properties → application.properties.sample
4️⃣ 구성된 프로젝트를 저장소에 연결
환경설정 파일이 올바르게 구성되었는지 확인합니다
5️⃣ 조원 초대
1️⃣ 팀장이보낸 프로젝트초대 메일을 통해 초대 수락
2️⃣ 초대받은 저장소를 클론
3️⃣ 환경설정 파일 생성
1️⃣ Pull
git pull origin main
2️⃣ Add
git add .
3️⃣ Commit
git commit -m "작업 내용 설명"
4️⃣ Push
git push origin main
🚨 프로젝트가 생성되면 하나의 프로젝트는 동시에 한 번만 푸시되기 때문에 반드시 Pull → Add → Commit → Push 순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이때 서로 Commit과 Push 진행 시 팀원들과 공유가 되어야 충돌을 최소화 시킬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