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_ 협업 프로젝트 가이드

jjyu_my·2024년 10월 25일
0

Git & GitHub

목록 보기
6/8
post-thumbnail

📌 깃허브 협업 방법 및 커밋 가이드


👩🏻‍💻 팀장 역할

1️⃣ 저장소 생성

  • 저장소는 private으로 생성하는 것이 권장

2️⃣ 프로젝트 초기 구성 후 .gitignore 파일 추가

  •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을 포함하여 민감한 정보관리합니다

3️⃣ 환경설정 파일의 확장자 변경

  • 환경설정 파일의 확장자를 .sample로 변경

    예: application.properties → application.properties.sample

4️⃣ 구성된 프로젝트를 저장소에 연결

환경설정 파일이 올바르게 구성되었는지 확인합니다

5️⃣ 조원 초대

  • 생성한 저장소의 설정에서 콜라보레이터 추가 기능을 사용 또는,
  • 조원의 이메일 주소 또는 GitHub 사용자명을 통해 초대가 가능합니다

👩🏻‍💻 팀원 역할

1️⃣ 팀장이보낸 프로젝트초대 메일을 통해 초대 수락

2️⃣ 초대받은 저장소를 클론

  • 팀원들 컴퓨터에 새로운 폴더 생성후, 새로 생성한 폴더안에 프로젝트 클론

3️⃣ 환경설정 파일 생성

  •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을 자신의 환경에 맞게 생성합니다

🔎 협업 진행시 지켜야할 규칙

1️⃣ Pull

  • 원격 저장소에서 최신 변경 사항을 가져옵니다
git pull origin main

2️⃣ Add

  • 작업한 변경 사항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
git add .

3️⃣ Commit

  • 변경 사항을 커밋합니다
git commit -m "작업 내용 설명"

4️⃣ Push

  • 로컬에서 커밋한 변경 사항을 원격 저장소에 푸시합니다
git push origin main

🚨 프로젝트가 생성되면 하나의 프로젝트는 동시에 한 번만 푸시되기 때문에 반드시 Pull → Add → Commit → Push 순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이때 서로 Commit과 Push 진행 시 팀원들과 공유가 되어야 충돌을 최소화 시킬수 있습니다


profile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