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네트워크 첫걸음

jj·2021년 1월 4일
0

모두의 네트워크

목록 보기
2/6

이 글은 <모두의 네트워크>를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개요

  • 네트워크의 구조
  • 패킷
  • LAN, WAN

lesson 1. 네트워크의 구조

  • 네트워크

    • 컴퓨터간의 연결
  • 인터넷

    • 전 세계의 큰 네트워크부터 작은 네트워크까지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 패킷

    • 컴퓨터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

    • 네트워크나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으려면 규칙이 있어야 한다. 웹브라우저에는 사진과 문자를 보여주기 위해 필요한 규칙이 있다. 이 규칙에는 패킷을 사용한다. 큰 데이터가 있더라도 작게 나누어진 패킷(택배처럼)을 보내는 게 규칙이다.

    • 왜 굳이 작게 나누나요?
      큰 데이터를 그대로 보내면, 그 데이터가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너무 많이 차지해서 다른 패킷의 흐름을 막을 위험이 있기 때문 ( 대형 트럭이 차선 두개를 모두 점령해버리면 교통 정체가 생기는 상황처럼)

      대역폭
      일반적으로는 네트워크에서 이용가능한 최대 전송 속도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단위 시간당 전송량을 말함

    • 사진을 패킷을 나누어서 보낸 뒤, 목적지에서 원래의 사진을 그대로 볼수 있나요?
      목적지에서 원본으로 되돌리는 작업을 해야한다. 일단 목적지로 보낸 패킷이 전송한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을 수 있다. 또 패킷이 전송될 때 네트워크가 지연되서 늦게 도착하거나 패킷이 누락될 수 있다.
      그러므로, 송신 측에서 수신 측으로 패킷을 보낼 때는 각 패킷에 순서대로 번호를 붙여서 보내고, 목적지에서 번호에 맞춰서 정렬하면 된다.

lesson 2.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 디지털 데이터
    • 모든 컴퓨터는 숫자 0과 1만을 다루고, 그 0과 1의 집합을 디지털 데이터라 한다.
  • 비트와 바이트
    • 비트(bit): 0과 1의 정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
    • 바이트(byte): 0 또는 1인 숫자(비트) 여덟개를 모아 표시한 단위
    • 1바이트 = 8비트
  • ASCII 코드
    • 알파벳, 기호, 숫자 등을 다룰 수 있는 기본적인 문자코드
      예. A: 65, B : 66,...
  •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비트 정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네트워크에 전기신호가 전송됨

lesson 3. LAN과 WAN

  • 네트워크는 접속할 수 있는 범위에 따라
    • LAN (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
      건물 안이나 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지리적으로 제한된 곳에서)
    • WAN (Wide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구축된 네트워크. 랜과 랜을 연결한다고 생각해도 된다.
      예. KT, U+, SKT 등의 인터넷 상용서비스 사업자
    • LAN과 WAN의 차이
      • LAN: 좁은 범위, 빠른 속도, 적은 오류
      • WAN: 넓은 범위, 느린 속도, 많은 오류

lesson 4. 가정에서 하는 랜 구성

  • 가정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 집에서 구성하는 네트워크는 랜이다
    •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과 인터넷 회선을 결정해야한다
    • ISP와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해, 인터넷 공유기가 필요하다

      인터넷 공유기 (broadband router)
      가정이나 소규모 기업에서 인터넷에 접속할 때 사용한다. 가정용으로 만든 라우터라고 생각하면 된다. 최근에는 라우터, 허브, 스위칭 허브, 방화벽과 같은 기능도 제공

    • 랜: 인터넷 공유기를 중심으로 내부 인터넷망(사설망)을 구성하고, 다양한 기기 연결(노트북, 스마트폰 등)
      • 랜 케이블 유무에 따라 유선 랜/ 무선 랜으로 나눌 수 있다

lesson 5. 회사에서 하는 랜 구성

  • 소규모 회사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 가정에서의 랜 구성과의 차이점: DMZ라는 네트워크 영역이 존재

      • DMZ(DeMilitarized Zone):
      • 네트워크 구성 중에서 일반적으로 인터넷인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한 중간 지대(서브넷)을 말한다. 네트워크의 보안 영역으로 외부 공격자가 내부 네트워크에 침투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 보통 서버(웹서버, 메일 서버, DNS 서버)를 공개할 때 사용
        • 예. 웹사이트를 불특정 다수의 외부 사용자에게 공개하려면 웹서버를 외부에 공개
        • 예. 외부 사용자와 메일을 주고 받으려면 메일 서버를 외부에 공개
        • 예. 외부에서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여 회사 서버에 접속하려면 DNS 서버를 외부에 공개
      • 직원 수가 많을 수록 스위치와 같은 장비가 늘고 랜 케이블의 배선도 늘어나게 된다.
    • 회사에서는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 서버를 (1) 사내에 설치, (2) 데이터 센터, (3) 클라우드에 둘 수 있다.

    • 사내/ 데이터 센터에 서버를 두고 운영하는 것을 온 프레미스(on-premise)라고 한다.

이미지 출처:
https://gourmet-eundong.tistory.com/16

profile
재밌는게 재밌는거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