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스푸핑 vs 스니핑

Kook·2025년 3월 21일
0

네트워크 보안에서 Spoofing(스푸핑)과 Sniffing(스니핑)은 많이 헷갈리는 개념이야

Spoofing (스푸핑) - 속이기 공격

🚨 "나는 다른 사람인 척할게!"

스푸핑(Spoofing)은 공격자가 자신을 다른 사람(혹은 시스템)으로 속이는 공격 기법.
즉, 네트워크에서 신뢰 관계를 속여서 공격 대상이 잘못된 정보를 믿게 만드는 것이 목적.

🔹 스푸핑 종류 & 예제

스푸핑 종류설명
IP 스푸핑공격자가 자신의 IP 주소를 다른 IP로 위장하여 공격 (예: DDoS 공격)
ARP 스푸핑공격자가 잘못된 ARP 정보를 보내서 트래픽을 가로챔 (MITM 공격)
DNS 스푸핑DNS 서버를 조작해 사용자를 가짜 웹사이트로 유도
이메일 스푸핑발신자 주소를 위조하여 피싱 메일 전송

📌 ARP 스푸핑 예제 (MITM 공격)

공격자가 피해자에게 "나는 공유기야!"라고 속임
공격자가 공유기에게 "나는 피해자야!"라고 속임
➡ 피해자와 공유기 사이의 모든 트래픽을 가로챌 수 있음!


Sniffing (스니핑) - 도청 공격

🚨 "네트워크를 몰래 엿들을게!"
스니핑(Sniffing)은 공격자가 네트워크 트래픽을 몰래 가로채서 분석하는 공격 기법.
즉, 패킷을 훔쳐보고 중요한 정보(비밀번호, 카드 정보 등)를 탈취하는 것이 목적.

🔹 스니핑 공격 예시

스니핑 방식설명
패킷 스니핑네트워크에서 주고받는 패킷을 가로채 분석 (Wireshark 사용)
무선(Wi-Fi) 스니핑공용 Wi-Fi에서 트래픽을 가로채 민감한 정보를 탈취
키로깅(Keylogging)사용자의 키보드 입력을 몰래 기록하여 계정 정보를 빼냄

📌 패킷 스니핑 예제

공격자가 공용 Wi-Fi에서 패킷을 캡처함
➡ 사용자가 로그인하면 ID/PW가 공격자에게 노출됨!


🎯 Spoofing vs. Sniffing 한눈에 비교!

구분Spoofing (스푸핑)Sniffing (스니핑)
🔍 뜻공격자가 자신을 속여서 신뢰를 얻음네트워크 트래픽을 가로채 엿봄
🎯 목적시스템을 속여 잘못된 정보를 믿게 만듦데이터를 몰래 가로채 분석
📌 대표 사례IP 스푸핑, ARP 스푸핑, DNS 스푸핑패킷 스니핑, 키로깅
🚨 위험성공격자가 중간자(MITM)가 되어 트래픽 조작 가능계정 정보, 비밀번호 탈취 가능
🛡 방어법정적 ARP 테이블, VPN 사용HTTPS 사용, 공용 Wi-Fi 피하기
profile
Hello, World!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