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branch 활용이 이유가 아닐까 생각된다.
다른 사람들과 같은 코드를 작업하면서 다른 기능들을 넣고 병합하는 가운데 commit들의 history가 남고 grapy하게 볼 수 있는 잘 만들고 잘 찾을 수 있는 코드가 되는게 아닐까?
오늘 페어 프로그래밍은 어제 늦게까지 예습, 복습한 결과 주도적으로 진행하여 깔끔하게 진행 되었다.
내일부터는 HTTP 쿠키와 헤더에 대한 이론이 기다린다.
아! 나중에 git interface program을 설치 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