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 주도 설계
도메인 지식
- 어떤 산업 또는 분야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도메인
- 지식, 영향력, 활동 영역
- 개발 분야에서는 소프트웨어로 해결하려는 문제의 영역을 의미
도메인 주도 설계
- 하나의 도메인 모델에 대한 이해관계가 각자 다름을 인정하고
- 각 팀에 적합한 하위 도메인(주문, 배달, 결제 등)을 설정하고
- 해당 하위 도메인에 대한 맥락을 알고 있는 사람이 따라야 할 비즈니스 규칙에 대한 경계를 설정하는 설계 방식
도메인 주도 설계의 주요 용어
- 보편 언어 (ubiquitous language)
- 도메인의 특정 업무와 관련된 사람들 사이에서 통용되는 개념
- 한정된 맥락 (bounded context)
- 모델의 경계를 분명하게 구분짓고, 업무 범위 내로만 아키텍처를 구성한다.
- 서비스를 나눈다.
- 데이터베이스를 서비스 별로 구분한다.
DDD와 마이크로서비스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는 DDD를 실천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며, DDD의 유일한 해결책이 아님에 주의해야 한다.
도입하려면?
- 도메인 지식을 가진 엔지니어가 팀마다 있어야 한다.
- 자연스럽게 기능 조직이 아니라 목적 조직화 된다.
- 여러 서비스가 잘 결합할 수 있게 디자인해야 한다.
- 동시에 다른 서비스에 지나치게 의존해서도 안된다.
- 서비스를 오케스트레이션 해야 한다.
- 오케스트레이터는 각 서비스가 죽는지 안죽는지 여부, 트래픽이 수용 가능한지 아닌지 여부, 인프라 유지보수(업그레이드, 패치 등) 업무 등에만 집중한다.
콘웨이의 법칙(Mevlyn Conway, 1967)
- 모든 시스템은 그 조직의 의사소통 구조와 동일하게 만들어진다.
마이크로서비스로 소프트웨어를 작성할 때에는 소프트웨어 작성에 앞서 팀의 일하는 방식을 보다 독립적으로 만들어내야 하며,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통해 팀의 일하는 방식이 보다 독립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즉, 문화로서의 DevOps를 실천해야만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