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략적인 기본 개념만 정리한 글
HTML은 웹 컨텐츠의 구조와 의미를 결정하며, 표준화 된 마크업 언어를 사용한다.

// HTML 태그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지만, HTML5 표준 명세에서는 태그와 태그 안에 사용하는 속성들은 모두 소문자로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요소의 성질과 특징을 정의하는 명세이며 실제 컨텐츠로 표시되길 원하지 않는 추가적인 정보를 담고 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HTML</title>
</head>
<body>
기본 구조
</body>
</html>를 입력하세요
<!DOCTYPE html> 해당 문서는 html5 문법이 적용 된 문서임을 명시
<html lang="ko"> html 파일의 최상위에 있는 태그이며 웹 문서의 시작을 알린다.
<html lang="ko"> 으로 된 문서를 우선 검색함<head>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UI요소가 아닌 메타 데이터를 정의한다.
<meta charset="UTF-8"> html 문서의 문자 인코딩 설정을 UTF-8로 지정
<title> 브라우저 검색이나 북마크 추가 시 보여지는 문서의 제목
<body> 실제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내용이며 페이지에 표시되는 모든 콘텐츠가 포함된다.

‼️
<div>는 의미가 없는 non-sementic 요소이다.
<header> 소개 및 탐색에 도움을 주는 콘텐츠
<nav>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를 모아둔 네비게이션 메뉴
<aside> 본문 이외의 별도 콘텐츠
<main> <body> 의 주요 콘텐츠
<main> 요소의 컨텐츠는 문서의 유일한 내용이어야 하며 여러 문서에 걸쳐 반복되는 콘텐츠는 포함해서 안됨<article> 주로 독립적이거나 재사용 가능한 컨텐츠에 사용
<section> 연결성 있는 컨텐츠의 집합
<footer> 문서 제작 정보와 저작권 정보가 담긴 영역
같은 모양의 노란 박스를 분홍 박스 옆에 배치 하려고 할 때, 노란 박스가 block 레벨인지 inline 레벨인지에 따라서 배치구조가 달라진다.
항상 새로운 줄에서 시작하며 사용 가능한 전체 너비를 차지한다.
예시) <div>

새로운 줄을 만들지 않으며 필요한 너비만 차지한다.
<a>는 인라인 레벨 요소지만 블록 레벨 요소를 가질 수 있다.예시) <span>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ML
https://poiemaweb.com/html5-syntax
https://youtu.be/i0FN-OwJ7QI
https://youtu.be/OoA70D2TE0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