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 개발자에겐 터미널을 사용함에 있어 자신감이 떨어진다.. 우분투를 사용할 땐 잘 설치했는데, 이번에 새로 구매한 맥북에선 몇 시간 만에 겨우 설치에 성공했다. 터미널이 bash, zsh 중 어느 걸 사용하냐에 따라서 조금씩 달라지는 것도 문제인데 nvm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감을 전혀 못 잡았었다.
운이 좋게도 https://webruden.tistory.com/271 이분의 글을 읽고 1분 만에 해결하였다.
https://brew.sh/index_ko 에 접속해서 명령어를 복사한다.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터미널에 붙여넣고 설치를 진행한다.
설치함 Homebrew를 통해서 nvm을 설치한다.
~ % brew install nvm
그렇게 설치가 완료되고.. nvm을 통해 node.js를 설치하려고 하면 명령어를 먹질 않는다.
zsh: command not found: nvm
위와 같이 오류가 발생한다.. 위에 있는 블로그를 참고하여 고친다..
bash의 경우와 zsh의 경우에 따라 설정법이 달라진다.
일단 본인은 이런저런 이유로 zsh를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vi ~/.zshrc
를 사용하여 편집기로 파일을 만들고 아래의 내용을 추가하였다.
# NVM
export NVM_DIR=~/.nvm
source $(brew --prefix nvm)/nvm.sh
위 내용을 저장하고 적용시켜야 한다.
~ % source ~/.zshrc
물론 bash를 사용하면 파일의 내용 또한 달라진다.
~ % nvm install 14
위와 같이 명령어를 통해 설치하였다.
어느 분께선 14가 m1에서 설치를 실패했다고 하는데 로제타를 사용하면 설치되는 게 맞는 것 같다. 로제타 쓰기 싫은데.. 15버전은 이런저런 문제가 있을 듯하여 나중을 기약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