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Script] 변수의 타입 정의

종현·2023년 12월 18일
0

[TypeScript]

목록 보기
1/19

변수에 타입을 정의하는 방법

name 변수에 타입을 선언하고 시파면 다음과 같이 변수 뒤에 ': 타입이름(ex) string, number boolean...)'을 추가한다.

const name: string = 'jonghyun';

기본 타입

  • 타입을 정의한 후 다른 타입의 값을 대입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문자열 타입: string

let name: string = 'jonghyun';

숫자 타입: number

let age: number = 99;

진위 타입: boolean

let isLogin: boolean = true;

객체 타입: object

  • object의 타입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타입을 정의하는게 좋다.
let feDeveloper: object = {name: 'jonghyun', age: 99};

배열타입: Array

  • 배열 타입을 정의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const cards: Array<number> = [1, 2, 3, 4];
const cards: number[] = [1, 2, 3, 4];

//1. Array<배열의 데이터 타입>
//2. 배열의 데이터 타입[] - 추천(입력 수 가 더 적고, 직관적이기 때문에)

튜플 타입: tuple

  • 특정 형태를 갖는 배열을 의미한다.

  • 배열의 길이와 요소의 타입이 고정된 배열

const items: [string, number] = ['jonghyun', 99];

any타입

  • 아무 데이터나 취급하겠다는 의미로 사용하며, JS의 유연함을 취하려고 할 때 사용한다.

  • 타입스크립트의 장점을 취하기 위해서는 any를 남발하기 보다는 정확한 타입을 정의하는게 좋다.

  • 왠만하면 쓰지않는게 좋다.

let name: any = 'jonghyun';
name = 99;

null과 undefined

  • null은 의도적으로 빈값을 넣어놓기위해 사용한다.

  • undefine는 변수를 선언 하고 값을 할당하지 않으면 undefined가 초깃값으로 지정된다.

let empty: null = null;
let nothing: undefined;

출처: 쉽게 시작하는 타입스크립트

profile
지속 가능한 성장 습관을 만들어 나가고 싶어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