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의 Index에 관하여

정종일·2023년 2월 20일
0

Develop

목록 보기
2/5

Index란?

흔히들 사전의 색인이라 설명하지만 잘 와닿지 않는다. 사전에서 색인을 통해 무언가를 찾아본 경험이 적기 때문일까?

조금 더 쉽게 설명하자면 UP, DOWN 게임을 상상해보면 된다

누군가가 1부터 100까지의 숫자 중 하나를 선택하고 우리는 질문을 통해 그 수를 알아내야 한다고 해보자

크게 두 가지 형태의 질문이 있을 수 있는데

  1. 1부터 100까지 하나 하나 질문한다.

  2. 기준을 정해 그 수보다 큰지 작은지 질문한다.

    (50보다 큰가요?)

1번 질문은 최악의 경우 100번의 질문을 해야 정답을 알아낼 수 있다. 그런데 2번 질문의 경우 아무리 많이 해도 6~7번의 질문을 통해 정답을 알아낼 수 있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Index이고 우리는 데이터베이스 내 검색 효율성 향상을 위해 Index를 사용한다.

어떤 방식으로 구현하는가

Index가 어떤 것인지 알았다면 실제 데이터베이스에서 Index를 어떻게 구성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Index를 사용함에 있어 선행되어야 하는 요소들이 있는데

  • 해당 테이블의 컬럼을 복사한 테이블이 존재해야한다
  • 복사된 테이블은 검색을 실행하고자 하는 컬럼을 기준으로 정렬되어야 한다.

Index는 정렬된 테이블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찾기 때문에 정렬이 필수이다.

데이터베이스 내 인덱싱 구조 (Binary Search Tree)

데이터베이스는 Index를 만들 때 이렇듯 Tree 구조를 통해 저장한다.

위에서 예시로 들었던 2가지 질문 중 2번 질문과 비슷한 형태인 것을 볼 수 있다.

혹시 더 효율적으로 만들 수는 없을까? (B-tree)

이전 Binary Search Tree에서 검색의 효율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모델이 존재한다. 바로 B-tree다.

B-tree는 기준이 되는 데이터가 담겨있는 노드에 한 가지 데이터만을 담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데이터를 담아 검색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이렇게 B-tree 구조로 인덱스를 만들게 되면 동일한 횟수의 검색으로 더 넓은 범위의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근데 여기서 더 효율적으로 만들 수 없을까? (B+tree)

사실 B-tree도 상당히 효율적으로 보이는데 그보다 더 효율적인 Index 구조가 존재한다는 것이 놀랍기도 하다.

B+tree는 마지막 노드들에만 데이터를 저장해놓고 이를 연결한 후 상위 노드들에는 검색의 가이드만을 제시해놓는 형태이다.

B+tree 구조의 인덱스를 이용하면 범위 검색에 상당히 유용하다.

이전의 인덱스들은 3~8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찾을 때 위 아래로 왔다갔다 하며 데이터를 찾아야하지만 B+tree 인덱스는 3만 찾는다면 그 이후로 연결된 데이터를 가져오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단점은 없을까?

  1. Index는 컬럼을 복사해서 정렬해두는 개념이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의 용량을 차지할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검색이 필요하지 않은 테이블은 굳이 Index를 만들지 않아도 된다.

  2. 기존의 테이블에 데이터가 삽입되거나 수정, 삭제되었을 때 인덱스에도 똑같이 반영을 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성능 하락이 동반될 수 있다.

Index 사용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성능을 고려하는 개발자가 되도록 하자


코딩애플님의 Youtube 영상을 참고해 포스팅했습니다.

profile
제어할 수 없는 것에 의지하지 말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