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kDown => 문서 작성 시에 구조와 내용을 함께 적기 위해 만들어진 마크업 언어
<a href(속성명) = " (속성 값) ">
태그 별로 사용할 수 있는 속성은 다르다
속성을 통해 태그의 부가적인 정보를 설정할 수 있음
요소는 속성을 가질 수 있으며, 경로나 크기와 같은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
이름과 값 쌍으로 존재
태그와 상관없이 사용 가능한 속성 들도 있음
label을 클릭하여 input 자체의 초점을 맞추거나 활성화 시킬 수 있음
에 id 속성을 에는 for 속성을 활용하여 상호 연관 시켜야 한다.
checkbox : 다중 선택
<!-- check 박스는 name 을 똑같이 설정해줘야 한다. -->
<div>
<input id="html" type="checkbox" name="language" value="html">
<label for="html">HTML</label>
<input id="python" type="checkbox" name="language" value="python">
<label for="python">파이썬</label>
<input id="python" type="checkbox" name="language" value="java">
<label for="java">자바</label>
</div>
<!-- radio 도 name을 똑같이 설정해 줘야 한다.
name 부분을 갖지 않게 설정할때는 다중선택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똑같이 설정 해 줘야 한다. -->
<!-- radio -->
<div>
<input id="happy" type="radio" name="mood" value="happy">
<label for="happy">행복</label>
<input id="sadness" type="radio" name="mood" value="sadness">
<label for="sadness">슬픔</label>
<input id="neutral" type="radio" name="mood" value="neutral">
<label for="neutral">중립</label>
</div>
Cascading Style Sheets
<!--selector 선택자-->
h1{
color : blue ; <!--# 각각의 스타일은 세미클론으로 끝나야 한다 -->
font-size : 15px;
}
인라인
내부 참조
외부 참조 - 분리된 CSS파일
무조건 이걸로 씀
<link rel="stylesheet" href="style.css">
>>>
style.css
h1{
color: aqua;
font-size: 200px;
}
아이디 -> 하나의 문서에 1번만 사용. 여러 번 사용해도 동작하지만, 단일만 사용하는거를 추천
클래스 -> 여러개 전용
중요도 - 사용시 주의
우선 순위
상위 요소가 하위 요소가 물려 받는것
속성 중에는 상속 되는 것 과 되지 않는 것들이 있다.
되는것 -> Text 관련 요소 ( font , color ,text-align)
되지 않는 것 -> Box model 관련 요소 (width, height, margin )
-> Position 관련 요소
<style>
p{
/* 상속 됨 */
color:red;
/* 상속 안됨 */
border: 1px solid black;
}
span{
border: 1px solid blue;
}
</style>
상위 요소가 없다면 하위 요소에 css 적용
고정 크기 단위
가변 크기 단위 ( 훨씬 많이 씀 )
단말기, 부모 등 상황에 영향을 받고 크기가 달라짐
예시
%
em
바로 위 부모 요소 크기에 대한 배수 단위
body {
font-size: 14px;
}
div {
font-size: 1.7em;
}
>>>
<p> Hello :) </p>
<div> Hello :)</div>
rem
바로 위, 부모 요소에 대한 상속을 받지 않음
최상위 요소 (html) 의 사이즈를 기준으로 단위를 가짐
html{
font-size: 20px;
}
body {
font-size: 14px;
}
div {
font-size: 1.7rem;
}
Viewport : 내가 실제로 보고 있는 화면
Normal Flow
하나의 박스는 네 부분 ( 영역 ) 으로 이루어짐
content
padding -> 본인이 껴있는 것 ( 컨텐트와 보더사이의 거리)
border : 테두리
border-width , border-style , border-color
.border{
border:2px dashed bladk;
}
margin -> 요소와 요소 의 거리
margin / padding
# 십자가 (상하, 좌우 적용)
.margin-2{
}
# 나누기 ( 위 적용, 좌 우 적용 아래 적용)
.margin-3{
}
# 시계 방향으로 적용
.margin-4{
}
content-box vs border-box
display:block
display:inline
어떻게 두는가?
static : 모든 태그의 기본값
아래는 좌표 프로퍼티 (top , bottom , left , right) 를 사용하여 이동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