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기초

램해·2025년 7월 10일
0

OSI 7계층

OSI 7계층이란 각 역할을 계층별로 나누어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보여준다.
각 계층을 아래에서 살펴 보겠다.

1계층 - 물리계층(Physical Layer)

데이터를 통신 케이블로 전달하는 계층이다. 비트 단위의 물리적 전송이므로 데이터가 무엇인지는 관리하지 않고 Yes or No만 담당한다.

물리계층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프레임(Frame) 단위로 전송·오류 제어를 담당하는 계층이기에 MAC주소를 사용한다. 동일한 네트워크 내 컴퓨터의 통신을 다루며 포인트 투 포인트를 사용하기에 신뢰성있는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계층이다.이 외에도 HDLC나 ADCCP 같은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프로토콜이나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나 LLC, ALOHA 같은 근거리 네트워크용 프로토콜이 있다. CRC 기반의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가 필요하다

3계층 -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논리적 주소(IP)를 이용한 경로 선택 및 패킷 전달을 하면서 이 계층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은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기능(라우팅)이다. 네트워크 계층은 여러개의 노드를 거칠때마다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을 하는 계층이다.

4계층 -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통신을 활성화하기 위한 계층이다. 사용자들이 신뢰성있는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해 주어,
상위 계층들이 데이터 전달의 유효성이나 효율성을 생각하지 않도록 해준다.

TCP 프로토콜 :
양종단 호스트 내 프로세스 상호 간에 신뢰적인 연결지향성 서비스를 제공

  • IP의 비신뢰적인 최선형 서비스에다가 신뢰적인 연결지향성 서비스를 제공하게 됨
  • 신뢰적인 전송을 보장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구현이 한층 쉬워지게 됨

5계층 -세션 계층(Session Layer)

데이터가 통신하기 위한 논리적인 연결을 말한다. 통신을 시작하고 유지하며 종료하는 ‘대화’를 담당한다. 동기화 포인트(Checkpoint)를 제공하며 장시간 전송 중 끊어지더라도 마지막 체크포인트부터 재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6계층 -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데이터 표현이 상이한 응용 프로세스의 독립성을 제공하고, 암호화 한다. 즉 서로 다른 시스템 간 데이터 포맷 차이를 변환한다.

7계층 -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최종 목적지로서 HTTP, FTP, SMTP, POP3, IMAP, Telnet 등과 같은 프로토콜이 있다. 이메일, 웹, 파일 전송, 원격 로그인, 이름 서비스 등 구체적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구현한다.

HTTP 프로토콜(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웹 상에서 웹 서버 및 웹브라우저 상호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응용계층 프로토콜

처음에는, WWW 상의 하이퍼텍스트 형태의 문서를 전달하는데 주로 이용

현재에는, 이미지,비디오,음성 등 거의 모든 형식의 데이터 전송 가능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4계층

1계층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이며 웹 브라우징, 이메일, 파일 전송 등 구체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물리적인 주소로 MAC을 사용하며, LAN, 패킷망, 등에 사용된다

2계층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호스트 간 통신의 신뢰성과 효율성 보장한다. 데이터가 정확히 전달되도록 관리하며 포트 번호를 사용해 애플리케이션 구분한다.

3계층 인터넷 계층 (Internet Layer)

라우팅 및 주소 지정(IP 주소) 담당한다. 목적지까지 패킷을 전달하도록 한다.

물리적 네트워크와의 직접적인 연결하는 계층이다. 실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레임 구성, 하드웨어 주소 처리(MAC)를 담당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