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0 는 영어로 Null Hypothesis의 약자로 귀무가설이라고 부름.
-> 쉽게 말하면 아무 영향도 없고 아무 일도 없다라는 것을 가정하는 가설
H1 또는 Ha는 영어로 Alternative Hypothesis의 약자로 대립가설이라고 부름.
즉 앞에서 살펴본 "어떤 사건이 우연히 일어날 확률"을 구할 때, p-값을 사용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그 사건이 우연히 일어났다 라고 가정하는 것이
그 사건이 우연히 일어난 것이 아니고 뭔가 이유(인과관계)가 있다라고 가정하는 것이
즉 귀무가설이 맞다면 그 사건은 우연히 일어난 것으로 추정하고,
대립가설이 맞다면 우연히 일어난 것이 아닌 뭔가 이유(인과관계)가 있다고 추정하는 것
문제가 더 큰 건 1종 오류
다르게 말하자면, 어떤 사건이 우연히 발생했음에도 우연히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론 내릴 오류를 5%이내로 하겠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