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Status code 모음

JOO·2021년 11월 26일
0

CS

목록 보기
1/9

HTTP Status code 모음

Status code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의 상태를 알리는 수단. (지키지 않아도 상관없음)

(200 = 성공, 400 = 클라이언트가 잘못함, 500 = 서버가 잘못함.)

(자세한 스펙 :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TP/Status)

- 1xx: Informational : 요청 정보 처리 중

서버가 요청을 클라이언트에서 성공적으로 수신했으며 서버 끝에서 처리 중이라는 정보를 나타냄. 현재는 사용 안함.

- 2xx: Success : 요청을 정상적으로 처리함

서버가 요청을 받고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음을 나타냄. 브라우저에서도 초록색으로 표시. 
- 200 : 단순 성공 코드
- 201 : 요청에 의한 리소스가 생성되었다는 코드 (회원가입등)
- 204 : 요청에 의한 리소스가 삭제되었다는 코드

- 3xx: Redirection : 요청을 완료하기 위해 추가 동작 필요

브라우저는 자동으로 다른 URL로 리디렉션되므로 브라우저 창에는이 코드가 표시되지 않음. 그래서 볼일이 거의 없음.

- 4xx: Client Error : 서버가 요청을 이해하지 못함

서버가 해결할 수 없는 클라이언트 측 에러 코드. 주로 클라이언트(사용자)가 서버에 잘못된 요청을 했을 경우 발생함.
- 400 :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잘못되었다는 코드. (이유는 모름)
- 401 :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리소스를 요청함. (인증만 되면 사용 가능하다는 의미)
- 403 : 클라이언트가 접근이 금지된 리소스를 요청함. (무조건 금지라는 의미)
- 404 : 존재하지 않는 리소스를 요청함.

- 5xx: Server Error : 서버가 요청 처리 실패함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지 못했을 때 발생함. 
- 500 : 백엔드쪽에서 에러가 발생함 (이유는 모름)
- 502 : 서버가 죽은 경우 발생함
- 503 : 서버에 부하가 심해서 현재 요청을 핸들링 할 수 없는 경우 발생함

—> 실제로 개발시 서버는 보안 상 통신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으므로 대부분의 에러 코드를 500 Error로 처리함.

profile
개발공부 기록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