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 github repository(원격 저장소)와 연결하기

joseph·2022년 6월 22일
1

Git & GitHub

목록 보기
2/5

요약

git init & git remote로 연결하기

  • 형상관리할 로컬 저장소로 이동
  • git으로 형상관리하겠다: git init
  • github와 연결: git remote add origin <github url>
  • 연결되었는지 확인: git remote -v

git clone으로 연결하기

  • 형상관리할 로컬 저장소가 담길 폴더로 이동
  • git clone <github url>
  • 연결 되었는지 확인: git remote -v

목적

  • 앞으로 다른사람들과 협업을 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github를 사용하게 될 것이다. 또한 컴퓨터의 고장으로 본인 로컬 저장소에 접근을 할 수 없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으니 원격저장소인 github에 연결하고 저장하는 방법을 배워보자.

본인 로컬 git 저장소와 github저장소 연결하기

  • git에는 다양한 명령어가 존재하는데 이 명령어를 이용해 원격저장소와 연결을 할 것이다.
  • 연결방법은 두가지가 있는데 둘 다 해보자.

remote로 연결하기

  • 본인이 git으로 형상관리할 로컬 저장소를 만들고 이 저장소를 github 원격 저장소와 연결하는 방법이다. 순서는 다음과 같다.
  • 터미널(맥)이나 깃배쉬(윈도우)를 켜서 형상관리 하고 싶은 로컬 저장소로 이동한다.
  • git init 입력
  • 그러면 hint가 나오고 마지막 밑줄에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in /Users/weeyosup/Desktop/dev/git_practice/.git/ 이런 문구가 뜨면 성공이다.
  • 연결하고자 하는 github repository에 가서 url을 복사해온다. 처음에 생성할 때 Add a README file 에 체크를 하지 않았다면 바로 보일 것이고 안보인다면 초록색 code버튼을 눌러보자.
  • git remote add origin <본인 github url> 입력
  • 이제 연결이 된건데 확인을 위해 밑의 명령어를 쳐보자.
  • git remote -v 입력
  • 아래와 같이 뜨면 연결이 된 것이다.
  • origin https://github.com/joseph-wee/git_practice.git (fetch)
    origin https://github.com/joseph-wee/git_practice.git (push)

git clone으로 연결하기

  • github 원격 저장소의 클론을 본인 로컬 저장소에 만드는것이다.
  • remote를 이용한 방법보다 훨씬 간단하다.
  • 로컬 저장소가 자동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그 로컬 저장소가 담길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ex) 현재 바탕화면이면 바탕화면에 로컬 저장소 폴더가 만들어진다. 바탕화면 전체가 형상관리되는 것이 아님.
  • git clone <본인 github url> 입력
  • 이러면 현재 디렉토리에 github와 연결된 로컬 저장소가 만들어졌다. 확인을 위해 로컬 저장소로 이동을 해서 아래 명령어를 쳐보자.
  • git remote -v 입력
  • 아래와 같이 뜨면 연결이 된 것이다.
  • origin https://github.com/joseph-wee/git_practice.git (fetch)
    origin https://github.com/joseph-wee/git_practice.git (push)
profile
프론트엔드 학습, 개발 블로그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