값: 표현식이 평가되어 생성된 결과
평가란, 식을 해석해서 값을 생성하거나 참조하는 것을 의미
리터럴(literal):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또는 약속된 기호를 사용해 값을 생성하는 표기법(notation). => 리터럴을 평가되어 값을 생성한다!
즉, 리터럴은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string, number...etc)/기호([],{},...etc)로 표기한 코드를 뜻한다! 값을 생성하기 위해 미리 약속된 표기법이다~~~
5.3...
표현식이 값처럼 사용된 다는 것의 의미와 정리!!
7.4: 삼항 조건 연산자(ternary operator)
조건식의 평가 결과에 따라 반환할 값을 결정.
자바스크립트의 유일한 삼향 연산자이며,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조건식 ? 조건식이 true일 때 반환하는 값: 조건식이 false일 때 반환할 값;
let result = score >= 60 ? 'pass' : 'fail';
만약 score가 100이라면, console.log(result) === 'pass';
삼항 조건 연산자 표현식은 값처럼 사용할 수 있지만, if...else은 값처럼 사용할 수 없다! 삼항 조건식은 값처럼 사용될 수 있기에 다른 표현식의 일부가 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
논리 부정 연산자는 항상 불리언 값을 반환한다!! 피연산자(operend)가 반드시 불리언값일 필요는 x.
!0 = true;
!'Hello' = false;
7.9) 지수 연산자:
지수연산자를 이용한 거듭제곱의 값 리턴하기;
2 2 = 4; => 2의 2승.
2 0 = 1; => 2의 0승.
위 방식이 쓰이기 전엔 Math.pow 메소드를 사용했다.
지수 연산자는 math.pow메소드보다 가독성이 좋으므로 익혀두는게 좋을 것 같다.
*음수를 거듭제곱으로 묶으려면 음수를 괄호로 묶어주자!
예시) (-5) ** 2 = 25;
또한, 지수 연산자는 이항 연산자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