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내용을 제발 기억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제발 수업 내용을 기억해' 줄여서 '제수기' 시리즈를 시작한다.
매일 수업 내용을 두서없이 정리해서 올릴 예정이다. 어짜피 내가 보려고 쓰는 목적이 크다.
일자 : 241216
컨디션 : 😰
저번 시간에는 배웠던 voice-bot. open ai를 활용해서 음성 채팅을 하는 걸 해봤다.
오늘은 그걸 streamlit cloud에 배포했다.
※ 단순히 수업 복습을 위한 기록으로,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음 주의
Git public
저장소를 만든다 (혼자 private으로 만들었다가 수업 진도 놓칠뻔 했다.)
add file
을 눌러서 openai_api.py
, app.py
를 넣어준다. (api key를 적어둔 env
파일은 절대!!!!! 넣으면 안 된다.) 개인 보안을 위해 streamlit cloud 환경에서는 dotenv 대신 streamlit의 secrect 기능을 사용하자
깃에 올라온 openai_api.py
를 edit 한다. dotenv, load env 삭제 후 commit changes.
pip list --formate=freeze > requirements.txt 터미널에 설치
같은 경로에서 packges.txt 파일 만들고, ffmeg 써놓기.
깃 저장소에 packges, requrements 추가
깃에 올라온 reaurements.txt
화면에서 edit. 'win' 들어간 거 죄다(window에서 만들었어서 만들어진 거라고 한다), 그리고 뭐 하나 더 삭제하라고 하셨는데.. 까먹었다. pythonrun? 뭐 이런 거였는데 내일 여쭤보는 걸로.. 아무튼 삭제할 걸 한 다음에 commit changes.
streamlit cloud 사이트로 이동한다. Create App -> Advanced settings에 aip key - "" 안에 넣어야 한다. aip key는 hugging face -> billing -> Access Tokens -> create new token
https://2rkp3dvdxgrz38uf23t8u4.streamlit.app/
크게 말하기가 어려워서 조그맣게 말했더니 아예 알아듣지를 못한다.. 나중에 혼자 있을 때 큰 소리로 해보기로 하자.
저기 보이는 표정은 바꿀 수 있다고 한다. 강사님이 공유해주신 참고 링크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