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주소 :인터넷에 연결되기 위해 필요한 인터넷 상의 주소
모뎀: 네트워크 통신에 필요한 신호 변환 장치
공유기 (home router) : 여러 기기들을 인터넷에 연결 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하나의 IP주소로도 동시에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
우리가 인터넷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IP주소를 요청해서 받고 공유기와 모뎀을 통해
공유기에 연결된 기기들은 같은 네트워크 소속
air-play 나 미러링 같은 기술은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는 것임. 같은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으면 같은 네트워크
프린터기도 마찬가지
스마트폰- 컴퓨터 - 노트북 -스마트 티비- 스마트 모니터 등등 많은 전자제품들이 공유기를 통해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다.
그림에 연결된 모든 기기들이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음. 모뎀을 거쳐 인터넷에 연결되게 됨
LAN : 집, 학교,회사 건물 등 제한된 범위 내에서 컴퓨터나 기타 기기들을 연결해서 데이터나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
WAN:서로 다른 여러 LAN이나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들을 하나로 묶어서 멀리 떨어진 기기들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만든 네트워크
훨씬 더 넓은 범위를 커버하는 네트워크
ex? 은행의 ATM, wireless WAN, Internet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통신사들이 ISP의 일종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여기서 궁금증이 다른 인터넷과 어떻게 통신할 수 있을까? ISP 들도 네트워크처럼 이어져 있음.
Tier 1: 국제 범위의 네트워크 보유
- 인터넷의 모든 네트워크 접근 가능
- 인터넷 중추 역할 (backbone) 우리같은 사용자에게 바로 서비스를 제공하지는 않고 핵심 역할을 담당함
- 트래픽 전송 비용이 없음 (어차피 1티어 ISP 끼리 통신할 경우에는 반대의 경우가 생길 수 있어서 협약을 맺고 비용을 지불하지 않음.)
티어2에서는 다른 티어2로 데이터 전송을 하려면 티어 1을 거쳐야하므로 티어1에 트래픽 전송 비용을 내야함
Tier 2 :국가/ 지방범위 네트워크 보유
- KT SK LG U+ 가 이정도, 규모의 ISP 라고 생각하면 될 듯함
- 티어 2끼리도 비용 정산 없이 트래픽을 주고 받기도 하지만 인터넷의 모든 영역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티어1 ISP에 전송 비용을 내고 써야함.
Tier 3 :작은 지역 범위 서비스 제공
- 일반 사용자나 기업대상 서비스
- 상위 ISP에게 비용을 내고 인터넷 트래픽을 구매해서 이를 통해 서비스
ISP들은 라우터를 이용해 연결되어 있음
라우터 (router): 목적하는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보내는 장치
네트워크의 끝에 있는 노드는 end system, 호스트 host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나뉠 수 있음
클라이언트: 다른 호스트의 데이터나 리소스를 요청하는 호스트
서버: 다른 호스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트, 요청에 따라 데이터나 리소스를 제공
서비스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