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아티클] 야구 데이터 분석 #6 야구 기초 용어 & 약어

고혜지·2024년 8월 6일
0

아티클

목록 보기
28/37

1. 주제

-작성일자: 2017-09-18
-작성자: 임선남
-출처: [NC SOFT] 야구 데이터 분석 #6 야구 기초 용어 & 약어

2. 요약

1) 서론

세이버메트릭스 자료를 보다 보면 영어 약어를 사용하여 수식으로 설명하는 경우가 많은데 오늘은 타격과 관련된 한글 용어 및 약어들을 보며 친숙해지는 시간을 가져보자.

2) 본론

G(Games Played/출장경기수): 선수가 몇 경기에 나왔는지 보여주며 간혹 GP라고 쓰기도 한다.
PA(Plate Appearance/타석): 타자가 타석에 몇 번 들어섰는지 나타낸다.
AB(At Bat/타수): 타자가 타격을 완료한 횟수를 나타낸다

<타수로 인정되지 않는 상황>
-희생번트, 희생플라이
-볼넷(4구)
-몸에 맞는 공(사구)
-수비측 방해로 타자가 1루에 나가는 경우

H(Hit/안타): 타자가 타격한 공이 야수에게 닿기 전 페어지역에 떨어지거나 펜스를 맞거나 펜스를 넘어가서 타자가 안전하게 1루에 도달한 것을 말한다.
(단, 주자가 아웃 되거나(포스아웃) 정상적으로 수비했다면 아웃 되었을 것으로 보이는(실책)는 안타로 기록되지 않는다.)
1B(Single/1루타): 타자 주자가 1루에 안착한 안타
2B(Double/2루타): 타자 주자가 2루에 안착한 안타로 간혹 D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3B(Triple/3루타): 타자 주자가 3루에 안착한 안타로 간혹 T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HR(Home Run/홈런)
TB(Total Bases):
총루타 혹은 총 타수라고도 하며, 타자 주자가 타격 후에 밟은 루의 개수를 모두 더한 것이다.

H + 2B + 2*3B + 3HR

R(Runs scored/득점)
RBI(Runs Batted In/타점)
: 타자의 타격의 팀이 득점한 경우를 의미하며 병살타나 실책으로 인한 경우에는 인정 하지 않는다
K,SO(Strikeout/삼진)
BB(Base on Balls/볼넷): 4구
HBP(Hit by Pitch/몸에 맞는 공): 사구. 볼넷과 묶어서 사사구로 쓰이기도 한다
GB(Ground Ball)
FB(Fly Ball)
LD(Line Drive, Liner/라인드라이브, 라이너, 직선타)
: 뜬공과 라인드라이브 타구의 구분은 다소 애매한 부분이 있어 기록자에 따라 다르게 판단하는 경우도 있다
SF(Sacrifice Fly/희생플라이): 타자가 친 뜬 공이 야수에 의해 아웃되었을때 3루 주자가 홈으로 뛰어(태그업) 득점한 경우를 말한다. 한자로 희비라고도 부른다
SH(Sacrifice Hit/희생번트): 타자가 번트를 통해 자신은 아웃되면서 주자를 진루시키는 경우인데 한자로 희타라고 쓴다.
GIDP/GDP(Ground Into Double Play/병살타): 일반적으로 GIDP라고 쓰며 땅볼로 인해 병살이 된 경우에 해당된다. 직선타로 병살이 된 경우는 GIDP에 포함하지 않는다
RBOE,ROE(Reached Base On Error/실책출루): 타자가 수비 실책으로 1루에 안착한 경우이다.

3) 결론

다음 연재에선 투수 기록과 관련된 약어 및 용어를 알아보자

3. 핵심 포인트

세이버메트릭스에는 영어 약어를 통해 많이 표현되는데 오늘 아티클을 통해 이 영어 약어와 한글 용어들을 배워보자.

4. 참고 자료

라인드라이브: 직선에 가깝게 날아가는 타구로 체공 시간이 짧아 야수들이 대처하는 난이도가 다른 타구에 비해 높다. 더구나 먹힌 뜬공, 빗맞은 땅볼 등 약한 타구가 나올 수 있는 땅볼이나 뜬공과는 달리 대체적으로 잘 맞은 정타가 많기 때문에 평균적인 타구 속도도 빠르다.

-> 라인드라이브는 발사각이 10~20도 초반/ 뜬공은 발사각이 더 높은 경우인 것 같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