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8n 정리
자체 호스팅 vs 클라우드 서비스
- Make, Zapier
- 오픈소스 아님 → PC에 설치 불가
- 클라우드 기반 → 데이터 주권 없음
- 기업 보안 요구사항 충족 어려움
- n8n
- 오픈소스 → 버그 수정·보안 검증 가능, 커스터마이징 가능
- 폐쇄망에서 동작 가능 → 데이터 주권 확보
- 기업 보안 요구 충족 가능
- 커스텀 노드 개발 가능
⚠️ 단, n8n을 자체 서비스로 호스팅하고 직접 수익을 창출하는 경우 라이선스 위반 가능성 있음 → 라이선스 확인 필수.
실무 활용 포인트
- 킬러 기능
- AI Agent 내장 → Claude, GPT 등 코드 없이 사용 가능
- MCP 서버 구축 가능 (코딩 없이 구현 가능)
- RAG 기반 챗봇 제작 가능
- Webhook 노드 제공 → 다양한 서비스와 통합 가능
- 하나의 워크플로우에 여러 개의 트리거 노드 사용 가능 (Make, Zapier 불가)
활용 사례
- 유튜브 데이터 요약 (텔레그램 연동)
- RSS 뉴스/블로그 데이터 수집 및 요약
- 정부 기관 데이터 크롤링·DB 저장·요약
- 네이버 블로그 포스팅 데이터 수집
- CRM 서비스 개발 (비개발자도 가능)
- 블로그 자동화 서비스 구축
- 유튜브 영상 스크립트 요약
- 부동산 매물 설명 글 자동 작성
- 코인 차트 분석 + 챗봇 개발
- 구글 MCP 서버 대체 솔루션 구축
활용 분야
- 반복 업무(“디지털 노가다”) 자동화
- 개인 삶·취미 자동화
- 자영업·프리랜서 업무 자동화
- 모니터링 & 콘텐츠 발행 자동화
- 빠른 POC, MVP 개발
- 개발자 생산성 향상
단점
- 가격이 비쌈

-
인터넷 속도 느림 (독일 서버 → 물리적 거리 문제)
-
커스텀 노드 설치 제약 있음
요약
- n8n = 오픈소스 + 자체 호스팅 가능 자동화 툴
- 보안/데이터 주권 이슈가 있는 기업이나 빠른 POC 개발에 적합
- 단, 상업적 서비스 활용 시 라이선스 문제와 비용·속도·노드 제약 고려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