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테크 인턴십 서버 직무 설명회

.·2022년 4월 16일
0

서버라는 것은

  • 각종 디바이스(client)가 인터넷을 경유해서 요청을 보내면 요청을 처리해 디바이스에 리턴을 해주는 행위를 하는 애플리케이션 혹은 하드웨어

  • 앱이나 웹 등을 통해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요청을 받은 서버 애플리케이션들은 파일 시스템이나 DB 혹은 외부 데이터에 rest api 등을 통해 접근해서 필요한 데이터들을 잘 조합해 프론트엔드로 다시 전달

서버 개발자가 하는 일

  •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각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취합하고 정리하여 클라이언트로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 운영툴도 만든다.

카카오의 서버개발자가 사용하는 기술

  • 각 조직의 니즈에 맞는 기술스택 및 프로세스
  • Java, Python, Kotlin, Spring, Django, MySQL, ES
  • javascript, react, k8s, Hadoop 등
  • 기술의 제약이 없고 서비스마다 적합한 기술을 찾아서 사용하고 있다.

Q&A

  1. 서버개발자로서 인턴십을 위한 최소한의 역량과 어떤 경험을 중요하게 여기는지

    • 인턴십은 실무에서 업무를 진행하는 방식이나 커뮤니케이션 스킬, 동료와 어떻게 일하는지 등을 보기에 기술적으로 빠르게 습득하면 유리하겠지만 조직에서 어울려 일할 수 있는 사람인가 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기술만 배우러 왔다'라는 식의 생각 보다는 함께 일하며 느낄 수 있는 자세 등을 생각해보면 좋을 듯
    • 학교 과정에서 배우는 CS 기본 역량, 입사 후에 얼마나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냐 보다는 '학습력과 학습력을 토대로 얼마나 성장할 수 있는가'가 핵심 포인트, 또 적극적으로 스스로 해결해보려는 자세
  2. 서버개발 인턴들 중 기억에 남는 인턴

    • 주어진 과제를 다 하는 것 보다는 과제에서 이런 부분은 이렇게 하는게 낫지 않을까? 하는 식의 고민과 개선하려고 노력한 인턴들이 기억에 남는다.
    • 어떤 기술을 사용하며 이 기술이 여기 왜 필요할까 고민하며 원리를 알아가는 사람들이 기억에 남는다.
  3. 학교 과정에서는 java spring을 사용했고, 현재는 개발을 하며 node.js를 사용하는데 인턴을 하며 잘 적응할 수 있을지

    • 어떤 프레임워크를 사용했는지가 중요한게 아니고 사용한 프레임워크의 장점이나 그 프레임워크에 대해 느낀점 등 본인들의 경험에 대해 잘 이야기할 수 있느냐가 더욱 중요
    • 회사에서 요구하는 기술들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해서 자신을 낮게 볼 필요는 없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