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DN(Contents Delivery Network)의 정의

  • 최근 네트워크가 많은 발전을 이룬 덕분에 언제 어디서든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네트워크 속에서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더군가나 해외에서 만들어진 앱도 아무 문제 없이 사용합니다.

  • 만약 교환되는 정보가 대용량일 경우 어떨까요?? 데이터를 언제 어디서든 지연 없이 처리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CDN 서비스 입니다.



🎃 CDN은 어디서 접할까?

  • 웹이나 앱이 많은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거나 전 세계 또는 먼 곳에 콘텐츠를 제공할 경우 CDN을 사용합니다.

  •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넷플릭스는 CDN 기술을 활용해 전 세계 사람들에게 콘텐츠를 안정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보안을 강화할 경우에도 CDN이 활용됩니다.



🎃 CDN : 개념

  • CDN은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를 뜻합니다. 즉,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빠르고 안전하게 전달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 서버 분산 네트워크라고도 부르는 CDN은 본 서버의 기능과 데이터를 분산시켜서 지리적 제약 없이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 CDN의 개념은 본사와 체인점 예시가 적합한데요, 예를 들어서 제주도에 개인이 운영하는 한 편의점이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 편의점에 도시락이 맛있어서 전국적으로 유명해졌습니다. 제주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이 도시락이 먹고 싶을 경우 쉽게 편의점에 가지만 타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제주도로 오기가 쉽지 않습니다. 점점 편의점에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면서 도시락 공급도 힘들어지게 됩니다.

  • 편의점 사장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지역에 체인점을 오픈하여, 타 지역 주민들도 그 지역에서 도시락을 먹을 수 있게 됩니다.


🎃 CDN : 특징

  • 앞서 CDN을 통해 서버를 분산시킨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즉 본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직접 받지 않습니다.

  • 이러한 특징으로 CDN은 많은 이점을 갖습니다. 먼저 대역폭 비용이 크게 절감됩니다. 여기서 대역폭은 동시에 많은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정도를 말합니다. 자동차들이 지나다니는 도로의 너비를 생각하면 쉽습니다. 서버에서 전송하는 데이터가 많아지면 대역폭은 넓어져야 합니다. 하지만 CDN 기술은 본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지 않기 때문에 대역폭을 넓게 만들 필요가 없어 대역폭 비용이 절감됩니다. 그 뿐만 아니라 본 서버의 부담을 줄이면 가용성과 안정성도 향상됩니다.



🎃 CDN : 원리

  • CDN의 개념을 보면 본 서버를 똑같이 복제해서 각 지역으로 배포한다고 생각이 가능하지만 그렇지는 않습니다.

  • CDN은 사용자에게 제공할 콘텐츠와 데이터만 따로 각 지역 서버에 저장해 두는 방식입니다.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면 그 클라이언트와 제일 근접한 CDN 서버에서 콘텐츠와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여기서 지역별로 존재하는 CDN 서버를 edge라고 합니다. 본 서버에서는 캐싱을 통해 엣지에 저장합니다.



🎃 CDN을 사용하는 이유

  • 최근에 웹이나 앱에서 많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앱의 동시간 서비스 이용자 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원활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CDN을 활용합니다.

  • CDN을 통해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까지 범위를 확장하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기존 인터넷 망이 갖는 한계점을 보완하고 서버의 부하 분산과 무정지 서비스,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profile
나 혼자 보려고 만든 개발 일기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