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라우드(Cloud) 정의

  • 클라우드의 정식 명칭은 Cloud Computing이며 인터넷을 통해서 CPU, 메모리, 데이터 스토리지, 네트워크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팅 자원을 제공합니다.

  • 클라우드의 뜻과 같이 구름처럼 내부가 보이지 않고, 서비스 사용자는 복잡한 내부 구조를 알 필요 없이 어디서나 구름 속의 자원을 이용할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클라우드의 장점

  • 필요한 만큼 서버를 증설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얼마든지 반납할 수 있습니다.

  • 사용하는 만큼 비용이 청구되기 때문에 비용을 계획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는 언제든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자원드르이 비용을 모니터링하고, 기업을 비용을 미리 예측가능합니다.

  • 예전에는 담당자가 3교대로 24시간 근무를 하며 서버실에서 보안, 서버를 점검했습니다. 주말에 갑작스럽게 문제가 발생하기라도 한다면 사무실로 달려가 문제를 해결해야했죠. 클라우드는 인터넷이 되는 곳이라면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서버를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 클라우드 사업자는 전 세계의 데이터 센터를 보유하고 있고, 전 세계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과거에는 기업이 직접 전 세계를 방문해 데이터 센터를 구축했다면, 이제는 사업자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만 하면 되는 것이죠. 즉 시간과 거리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빠르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이용가능합니다.

  • 기업에서는 자사의 데이터가 클라우드에 보관되면 보안상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까 유려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클라우드 사업자는 데이터 유출 방지 및 보안을 철저히 하고 있습니다. 또한 데이터의 유실을 막기 위해 데이터를 안전한 여러 곳에 저장해서 언제든지 복구할 수 있습니다.

  • 과거에는 많은 인력이 필요했습니다. 물리적 장비 증설이 필요할 경우 임대 업체에 요청해서 장비가 들어오는 경우까지 약 한 달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며, 장비를 설치하고 세팅하는 데에도 시간이 소요됐습니다. 하지만 클라우드에서는 기존보다 훨씬 빠른 시간 내에 운영, 점검, 설치가 가능하며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 클라우드 사용 시 고려할 부분

  •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 비용은 경우에 따라 합리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는 서버 증설 및 반납을 쉽게 할 수 있는데 왜 비용이 합리적인지 않은지 우리는 생각해봐야 합니다. 이유는 사용량에 따라 비용이 측정되기 때문입니다.

  • 온프레미스에서 보안 장비 한 대로 여러 서비스를 사용했다면, 클라우드에서는 한 서비스당 서버 수, 코어 수에 따라 비용이 측정되게 됩니다. 따라서 비용이 합리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
나 혼자 보려고 만든 개발 일기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