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Circuit Switching vs Packet Switching

somi·2023년 5월 3일
0

[CS] 네트워크

목록 보기
2/5
복습)
    Dial-up model 
	DSL: 각각의 통신선로를 독점해서 사용-> dedicated channel
    Cabale Modem -> shared channel
		: 보장되지는 않지만 최대 성능이 더 좋은 서비스
    FTTH(가시광선 이용)
	- 광섬유는 매우 빠르다. 빛을 사용하기 때문 
	- 가시광선을 이용하면 파장이 짧다.
	- 파장이 짧을수록 주파수 높을수록 더 많은 데이터 전송에 유리

네트워크를 그릴 때는 구름으로 그린다.

네트워크를 전송해주는 부분 ⇒ 네트워크 코어(Network Core)
나머지 부분 ⇒ Network Edge

클라우드 컴퓨팅

  • 대상이 명확하지 않다. 정확한 대상을 알 수 없다. 경로를 알 수 없다.
  • 굉장히 많은 양의 서버를 분산해서 저장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코어(Network Core)

  • 전화 ⇒ 컴퓨터 네트워크 : 굉장히 큰 변혁
    - 가장 큰 차이?
    Circuit Switching vs Packet Switching

circuit switching

- 통신의 시작에서 끝까지 통신을 위한 경로와 자원을 사전할당/독점
- 컴퓨터 네트워크가 생기기전에는 모든 통신 시스템은 circuit switching

packet switching network

- 패킷마다 목적지 주소를 적어서 보낸다.
- 우체국 ⇒ Router들이 패킷을 보고 판단하게 된다.
- Packet: 네트워크에서 전송의 단위
- content 보다 header 가 더 커지는 경우가 발생
- 그러나 그럼에도 미리 할당할 수 없기에 사용한다.
- 미리 할당하는 것은 비싸다. → 패킷 스위칭에 기반

참고)
fdm - 주파수 분할 다중화 / tdm - 시분할 다중화 기법 : 데이터 통신 다중화 기법

profile
📝 It's been waiting for you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