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파이썬에서의 변수는 다른 언어의 변수와 다른 점이 있다. 파이썬에서 쓰는 모든 것(변수,함수와 클래스도 포함)은 객체인데, 어떤 변수에 값이 선언되면 그 변수에 값이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값이 저장된 메모리의 주소가 저장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같은 값(정수의 경우, 256까지)을 가진 두 변수의 메모리 주소는 완전히 일치한다.
a = 3
b = 3
id(a) # 4433680752
id(b) # 4433680752
문자열 자료도 몇 가지 연산자를 통해 결합이 가능하다.
"hi" + "hello" # "hihello"
"hi" * 2 # "hihi"
연산자 말고도 f 스트링을 활용하면 여러 변수가 포함된 복잡한 문자열을 편하게 나타낼 수 있다.
name = "홍길동"
print(f"동에 번쩍 서에 번쩍 {name}") # 동에 번쩍 서에 번쩍 홍길동
f 스트링을 활용하면 중괄호 내에서 연산도 가능하다.
a = 3
b = 5
print(f"피자를 {a+b}조각이나 먹었어") # 피자를 8조각이나 먹었어
파이썬은 종속된 코드를 표현하기 위해 들여쓰기(space 4칸)가 필수이다.
if True:
print(True) # True 출력
if True:
print(True) # syntax error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