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7일 복기(TIL7)

Ji Taek Lim·2020년 12월 7일
0

TIL 정리 양식을 아래의 순서로 하려고 한다.

  1. 오늘 배운 것 중에 가장 중요한 개념 또는 활동을 정리 : Today’s Key 🔑

  2. 배운 것 중에서 추가적인 공부가 필요한 것 : 추가로 공부하자 💪🏼

  3. 문제를 풀었거나, 페어와 함께 알고리즘 구조를 짰다면 : 머리 뽀개기 🔥

이 3가지 항목을 꾸준히 유지하면서 작성할 예정이다. 그렇다면 오늘부터!

Today’s Key 🔑

JAVASCRIPT를 HTML에 넣는 법을 물어보았는데

프로그래머분이
how to import js file in html using script tag를 검색해보라고 하셔서

https://www.digitalocean.com/community/tutorials/how-to-add-javascript-to-html

검색을 해보았다. HELP DESK를 어떻게 활용해야하는지 몰랐는데 알게 되었다.

오늘은 PRE 9기로 다시 시작을 하게 되었다.

오늘의 배운것들을 적어보려고 한다.

let 이라는 것을 통하여서 변수를 선언한다. 이 행위는 앞으로 함수나 다시 호출하기 위해서 선언을 하는것으로 가장 중요한 기초적인 행위라고 생각한다.

만약에 let = a 를 선언한다고 하자

이 a 에다가 + 를 할 수 있고 -를 할 수도 있고

함수를 붙여줘서 10을 10번 더해줘 이렇게 되면

다시 return으로 오면

a+100을 가져오기 때문에 이 a (변수의 선언은 내가 원하는것을 지정해주고 이것을 어떻게 연산을 하고) 결과값을 도출할 거야라는 기본적인 definition을 정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let course ;
course = 'code states'

선언을 해주고 그 선언에 값을 부여할 수 도 있다.

let speed, distance, time;
speed = 5;
distance = 10;
time = distance / speed;

이렇게 선언을 해주고 값을 주어서 따로 할당해줄 수 있다.

이것을 하는 이유는 함수를 즉 계산식을 만들기 위해서다

여기에 고양이가 얼마나 이동하였는지 구하는 공식을 구할것이다.

거리=속력*시간이므로

고양이가 간 거리를 구하는 공식(속력,시간)

안에다가 distance를 definition을 선언해주고

distance에 어떻게 할 것인지를 정해주고

return해야하는것을 해야한다.

function getRunCatDistance(speed, time) {
let distance;

distance = speed*time

return distance;
}

함수의 호출(invoke;call)

함수의 호출이라..

function functionWithoutReturn() {
console.log('I may return!');
}
let result = functionWithoutReturn(); // undefined

function minusOne(input) {
input = input - 1;
return word;
}
let result = minusOne(10); // 9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let thing, num;
thing = '두루마리 휴지';
num = 3;

function goGet(thing, num) {
return '혜선아, 가서 ' + thing + ' ' + num + '개 가져다 줄레?';
}
let result = goGet(thing, num);

  • 함수의 정의
  1. 함수는 코드의 묶음(즐겨찾기 버튼)

  2. 기능의 단위(function)

  3. 입력과 출력간의 매핑

  4. 반드시 돌아온다(return)


let timeToGoHome = function (speed, distance) {

    let time = distance/ speed;

    console.log(time);
}

timeToGoHome 이라는 함수를 선언해준다음에

function을 만들어 준다.

  • 함수 기초

let pi = 3.141592;

let radius = 5 ;

pi * radius * radius;

let areaOfCircle = pi * radius * radius

let areaOfCircle = getAreaOfCircle(5)

function getAreaOfCircle(input) {

    let input = radius;
    let pi = 3.141592;
    
    let areaOfCircle = pi * radius * radius;

    return areaOfCircle;
}
profile
임지택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