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를 해야겠다고 느꼈다.물론 앞으로 공식홈페이지에 올라와있는 아이들을 보면서 공부를 할테지만, 개념이 아예 없는 나를 위해 아주아주아주 간단하고 단순하게 적어보려한다.주변인들에게 Docker에 대해 물어본 결과 "아주 화나는 것들"이라는
이번 프로젝트 때 "Docker"를 사용하기로 해서 사전조사를 위해 먼저 공부해보고 있다! 웹브라우저 창에 docker를 검색하여 뜨는 홈페이지에 들어가 "Get Started"를 누른다. 자신의 컴퓨터 운영체제에 맞는 Docker를 설치한다.(저는 window 입
Docker의 이미지와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작동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작성하겠습니다. docker에서 Image를 가져오는 것을 pull이라고 하고, image에서 container를 생성하는 것을 run이라고 한다. 이미지 pull httpd 이미지 설치 dock
Docker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를 조금 알아야한다고 한다. 왜이렇게 알아야할게 많을까...? 도커를 동작하는 많은 서버들이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때문이라구... 도커와 웹서버 도커에서 웹서버를 사용하면, 웹서버는 container에 설치된다. 이 contai
서버를 이용하기 위해서 컨테이너를 수정하기!ws2를 실행한다.terminal을 실행시킨다.terminal에 를 입력하여서 경로를 확인한다.이 경로는 host가 아닌 container안에서 실행시킨 것이다.을 실행시키면 현재 container가 가지고 있는 폴더들을 확인
간단한 SpringBoot코드를 입력하고, Docker에 올려보도록 하겠다. SpringBoot는 eclipse에서 실행되었습니다. SpringBoot 프로젝트 만들기 SpringBoot가 잘 돌아가고 있는지 확인해줍니다. 프로젝트 우클릭 -> Run As -> S
저번에 docker desktop에 올린 Spring Boot image를 cmd창에서 확인하고 image를 실행시키는 걸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지 확인 cmd 창을 실행시킨 뒤 를 통해 현재 가지고 있는 docker의 image들을 확인합니다. 이미지 컨테
버전 기록 docker compose 를 이용해서 웹을 배포해보려 한다. 우선, 로컬 환경 버전이다. GPU 환경(모델 학습할 때만 사용) PyTorch 2.3.1 (Python 3.10.13, CUDA 11.8, cuDNN 8.9.7) FastAPI 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