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SCA] 2025 체험형-1차 : 합격 후기

Judy·2025년 6월 18일
0

OSSCA '참여형' 프로그램 멘티 모집을 앞두고, 최근 활동을 마친 '체험형' 지원서 작성 경험을 공유합니다.

(따로 보관해두지 않고 기억을 되짚어 작성하는 포스팅이므로 실제로 제가 작성했던 지원서 내용과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약 2년 전, 입사 면접 자리에서 면접관에게 이런 질문을 받았다.

면접관 : 본인의 코딩 실력이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시나요?
나 : 코딩 실력을 판별하는 기준이 뭔가요?
면접관 : 오픈소스에 기여한다던지요.

합격 후 면접관은 나의 사수 겸 동료가 되었고, 이상하리만치 그날의 면접 질문이 오래도록 기억에 남았다.
(그분은 나와 같은 직무에 동갑내기라 경쟁 의식이 발동해서 더 뇌리에 깊게 남은 것 같다.)

글또 반상회에서 만난 개발자 동기에게 간단한 오타 수정부터 시작하여 오픈소스에 기여한 경험담을 듣기도 했지만
첫 발을 떼는 게 어렵다고, 나는 막연하게 엄두가 나지 않아 오픈소스의 세계 = 고수들의 세상 같았다.

그러던 차에 오픈소스에 기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발견했다!

홈페이지 : https://www.oss.kr/contribution_academy

단계별 오픈소스 컨트리뷰션 아카데미 프로그램

  • (입문형 과정) 대학(원)생 대상 공개SW 소개 및 공개SW 프로젝트 소개 등 공개SW 인식 확산을 위한 단기 특강 프로그램
  • (체험형 과정) 공개SW 개발 참여 및 기여를 위한 협업 도구 교육 및 주요 분야별 프로젝트 실습 및 체험 프로그램
  • (참여형 과정) 멘토·멘티가 한팀을 이루어 산업에서 활용 가능한 오픈소스 프로젝트 기능 개선 및 다양한 기여를 직접 경험을 통한 역량 강화 프로그램

내가 참여한 과정은 '체험형' 과정으로, 말 그대로 오픈소스에 기여하기 위한 과정을 '체험' 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멘티분들이 대학생이었다. (아마 멘티들 중 내가 최고령자 아니었을까.. 😇)
멘토님께서도 프로그램 말미에 '체험' 이 목적이기 때문에 반드시 오픈소스에 우리의 코드가 Merge 되지 않아도 괜찮다고 격려해 주셨다.

체험형 프로젝트는 다음 중 1지망, 2지망을 골라 지원할 수 있었고

나는 운 좋게 다음 프로젝트 목록 중 1지망으로 적어 낸 'PR Agent' 프로젝트에 선발되었다!

PR-Agent

  • 자동화된 GitHub PR(Pull Request) 분석/요약, 피드백, 코드 제안 등을 위한 AI 기반 도구
  • PR 기반의 코드리뷰 과정에서 AI의 도움을 받아 코드리뷰 과정을 효과적,효율적으로 진행하는데 도움을 받을수 있는 도구
  • https://github.com/qodo-ai/pr-agent

지원서 문항

지원서 문항은 크게 1지망, 2지망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각각의 지망 프로젝트 모두 대답해야 할 질문은 다음 3가지로 동일하다.

  • 자기소개
    • ex. 관심 분야, 학력, 전공, 프로젝트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 등
  • 지원동기
  • 프로젝트 개발 경험 (있으면 작성, 없으면 PASS)

나는 가급적 내가 처한 상황과 경험을 살려 진솔하게 작성했다.
특히 내가 지원하는 프로젝트가 나에게 왜 필요한지 (잘 맞는지) 를 최대한 어필하려고 노력했다.

자기소개

나는 AI Engineer 라고 소개하며 현재 회사에서 맡고 있는 직무에 대해 적었다.
지원 당시 나는 SI 회사에서 보험 상품 상담용 챗봇을 만드는 프로젝트에 투입되어
LLM, LangChain 과 RAG를 이용해 챗봇을 개발/개선/유지보수하는 업무를 맡고 있었다.

자기소개 작성 예시 중 '프로젝트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 가 있는데, 바로 뒤에 작성할 지원동기와 일부 내용이 겹칠 것 같아서 지원서 작성할 때 고민했던 기억이 난다.

✅ 지원동기 (이 포스팅의 핵심!)

'AI Engineer 로서 회사 팀 내에서 모두가 겪는 문제를 AI를 이용해 해결하고 싶다'

지원동기를 한 줄로 요약하면 위와 같고,
가급적 진솔하게, 현재 내가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지 예시를 들어 설명했으며,
이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지원한다는 메시지를 담았다.

  • 서론 : 당시 상황
    • SI회사 특성상 고객과 약속한 개발물을 정해진 날짜까지 개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함
    • 적은 수의 개발자들이 일정에 쫓겨 개발하는 상황
    • 빠르게 코드를 작성하고 커밋하다 보니 코드 관리가 되지 않았다
    • 모두가 코드리뷰의 필요성을 절감했지만 바빠서 여유가 없었다
  • 본론 : 결정적 계기
    • 그러던 어느 날, 누군가가 PR 제목을 'baepo' 라고 적은 것을 발견 (!!!!!!)
    • 사태의 심각성을 깨달음
    • 나는 팀 내 유일한 AI Engineer 로서 나와 우리 팀 모두가 겪고 있는 어려움을 AI를 이용해 해결하고 싶었다
  • 결론 : 주요 지원동기 마무리 + 부수적인 지원동기 추가
    • AI(LLM) 를 이용한 코드리뷰 툴인 PR Agent 를 익혀서 팀 내에 도입해서 모두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싶다
    • 또한 당시 나는 AI Agent 에 막 입문하여 LangGraph 를 이용한 토이 프로젝트를 만들어 보았고, AI Agent 스터디에 참여하고 있었음
    • 실제 서비스에서 Agent 가 어떻게 쓰이는지도 이번 기회에 알아보고 싶다

프로젝트 개발 경험

나는 지금까지 참여한 사이드 프로젝트에 대해 적어 냈던 것 같고.. 현업 프로젝트 경험도 적었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
단, 최근 참여형 프로젝트 지원서를 작성해 보니 프로젝트 개발 경험 문항은 글자 수 제한이 상대적으로 적게 걸려 있었다.
약 200자 정도? 되는 것 같다.
체험형도 글자 수 제한이 있었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

마무리

나는 모든 스터디/프로젝트에 지원할 때, 나의 현재 상황을 설명하고, 따라서 이 스터디가 왜 나에게 꼭 필요한지 어필하는 편이다.
그리고 스터디에서 잘 배워서 실무에 도입해 성과를 내겠다는 어필을 하면 100% 뽑히곤 했다.
(사실 멘토님께 나를 왜 뽑으셨는지 여쭤보지 않아서 부족한 나의 어떤 점을 보고 감사히 뽑아주셨는지는 모르겠다. 감사합니다 멘토님! 🥰)

단, 나의 경우 오픈소스에 기여하는 과정을 체험하는 '체험형' 프로그램에 지원하고 합격했지만
곧 있을 '참여형' 프로그램은 실제로 오픈소스에 기여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체험형보다 좀 더 빡빡하고, 긴 기간동안 진행되며, 중급 이상의 개발 능력자를 뽑는다는 팁을 들었다.

부디 참여형 프로그램에도 합격해서 합격 후기를 작성할 수 있었으면...! 🙏

profile
NLP Researcher, AI Engine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