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를 포함한 데비안 계열의 리눅스에서 쓰이는 패키지 관리 명령어 도구sudo는 superuser권한으로 실행하기 위함: apt-get은 인덱스를 가지고 있는데 이 인덱스는 /etc/apt/sources.list에 있다. 이곳에 저장된 저장소에서 사용할 패키지의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web에서는 FTP를 사용하지 않지만 네트워크 공유 서버나 웹서버, 파일 서버 등에는 FTP를 통해 파일을 주고 받는데 파일 전송 시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접속이 가능하다사용법 : 접속하려는 FTP 서버의
vi 명령어를 통해 vi를 시작할 경우 실행되는 모드, 방향키를 통해 커서를 이동할 수 있다명령 모드에서 i 또는 a키를 눌러 입력 모드로 넘어갈 수 있다. 자유롭게 코드나 글을 작성할 수 있으며 명령 모드로 돌아갈 때에는 esc를 누르면 된다i : 커서가 현재 위치한
bind-address ->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어떤 주소로의 요청을 허용할 것인지 설정bind-address 0.0.0.0으로 수정네트워크 전체 대역, 즉 모든 트래픽에 대해서 요청을 허용한다는 의미https://nobacking.tistory.com/88
서버를 동작시켰더니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https://navydoc.tistory.com/31
리눅스는 CLI(Command Line Interface)이며 명령어는 현재 머물고 있는 디렉토리를 대상으로 내려진다 >#### 설치 없이 실습하기 리눅스 실습 사이트 접속 StartupLink 클릭 ❤️ 디렉토리와 파일 명령어 요약 pwd : 현재 디렉토리 l
Input Output Redirection → '방향을 바꾼다'입력 및 출력을 다른 소스 및 대상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일반적으로 입출력은 시스템에 연결된 키보드와 모니터를 통해서 일어나며 표준 스트림은 이를 추상화 함표준입력(stdin) : 표준 입력 장치의 ID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어를 읽고 해석하여 운영체제가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명령어 해석기사용자(프로그램)에게 받은 명령을 전달받아 커널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석하여 전달하고, 커널은 하드웨어와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역할을 한다.즉, 운영체제의 커널과 사용자 간의 인터
리눅스는 전체 파일을 용도에 따라 계층 디렉토리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Linux Directory Structure (File System Structure) Explained with Examples,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한눈에 정리데이터 보관실행 파일디렉토리가 아
❤️ 컴퓨터의 구조 하드웨어의 구성요소 하드웨어는 아래 3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중앙처리장치 - Processor 컴퓨터에서 연산을 수행하는 핵심 부품 주요 기능은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여 프로그램이나 작업을 처리하는 것이다. 주기억장치 - Memory
id : 자기 자신을 식별하는 명령어uid : 내 아이디gid : 내가 속한 그룹의 아이디who : 현재 접속한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superuser == 관리자user == 일반 사용자sudo : 일시적으로 super user의 권한을 가질 수 있음su \
리눅스에서는 파일 및 디렉터리에 대한 권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자, 그룹, 기타(다른 사용자들) 세 가지 범주에 대한 권한을 지원한다. 기본적으로, 각 파일 및 디렉터리는 소유자, 그룹 및 기타 사용자에 대해 읽기, 쓰기 및 실행의 세 가지 권한으로 구성된다
❤️ 인터넷 google.com을 검색하면 DNS서버에서 google.com이라는 도메인 네임을 찾아 해당 도메인에 맞는 IP 주소를 사용자에게 반송하여 google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DNS(Domain Name System) : 도메인 이름과 IP주소를 서
: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사람이 쉽게 기억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문자(영문, 한글 등)로 만든 인터넷주소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할 때,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사용자가 도메인 이름을 입력hosts 파일에서 해당 도메인 이름을 찾아 IP 주소 매핑이 있는
❤️ rsync Remote Sync의 약자로, 파일과 디렉토리를 동기화하고 전송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명령어 및 프로토콜이다. > rsync 명령어를 이용해 로컬에 있는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원격 호스트로 보내거나 원격에 있는 파일, 디렉토리를 로컬로 복사해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