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 방식에 따른 구분
저번 포스팅에서는 클라우드를 인프라를 빌려주는 범위에 따라 IaaS, SaaS, PaaS 등으로 나누었다. 하지만 클라우드는 위치와 소유권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크게 프라이빗 클라우드, 퍼블릭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멀티 클라우드로 나눌 수 있다.

<출처> https://www.alibabacloud.co.kr/story-987575-2-2-2-2/
1. 퍼블릭 클라우드
우리가 일반적으로 쓰는 클라우드의 형태로, 누구나 비용만 지불한다면 제약 없이 접근해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환경이다. 대표적으로 AWS, Azure,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CP),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등이 있다.
공공 클라우드(Government Cloud)와 퍼블릭 클라우드의 공공 클라우드를 혼동하는 경우도 있는데, Government Cloud는 '공공기관이 도입하는 공공 클라우드', Public Cloud는 '공용 인터넷 망에 연결되는 공공 클라우드'라고 보면 된다.
퍼블릭 클라우드의 장점?
- 물리적 서버를 구매하거나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적으로 절약할 수 있음
- 서버 운영 및 유지보수 부담이 없어 총 소요비용(TCO) 절감 효과도 있음
어떤 경우에 이용하는 것이 좋을까
- 중소기업의 경우 데이터 센터 관리 및 유지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어 개발 프로세스에 집중할 수 있음
- 대기업의 경우 무제한의 컴퓨팅 성능과 스토리지 공간을 제공 받아 쉽게 비즈니스를 확장할 수 있음
- 수요가 유동적인 기업이나 Gmail, Office 365와 같은 공용 어플리케이션, 에어비앤비나 넷플릭스에 가장 적합함
주요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1. 아마존 웹 서비스 (AWS)
- 아마존이 제공하는 가장 큰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 컴퓨팅,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인공지능, 머신러닝, 인터넷 응용 프로그램 등 다양한 서비스를 포괄하고 있다.
2.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Microsoft Azure)
-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으로, AWS와 경쟁하고 있다.
- 가상 머신,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AI, 빅데이터, 개발 도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구글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 컴퓨팅, 데이터 스토리지, 빅데이터, 인공지능, 기계 학습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4. IBM 클라우드
- IBM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 컴퓨팅, 빅데이터, 머신러닝, 보안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5. 알리바바 클라우드 (Alibaba Cloud)
- 중국의 알리바바 그룹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 컴퓨팅, 스토리지, 인공지능, 빅데이터, 보안 등을 제공한다.
6. 오라클 클라우드 (Oracle Cloud)
- 오라클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 기업용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보안 등을 포함한다.
7. 디지털 오션 (Digital Ocean)
- 주로 개발자를 대상으로 하는 간단하고 빠른 클라우드 서비스
- 가상머신과 스토리지를 제공한다.
8. Vultr
- 다양한 가상 머신 유형과 스토리지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2. 프라이빗 클라우드
허용된 사용자만 접근한다는 제약이 존재하는 클라우드 환경. 예전에는 기업 내에서 자체적으로 설치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최근에는 데이터 센터를 임대하여 설치하는 경우도 많다.
제한된 네트워크 내에서 특정 기업이나 사용자만을 대상으로 하며 클라우드의 자원, 데이터, 자원 제어권이 기업에게 있다. 또한 클라우드 오픈스택 기술 등을 이용해 컴퓨팅 구성 요소를 직접 구축하기 때문에 보안이 뛰어나고, 각 상황에 맞게 기능을 맞춤형으로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 이후 내용 더 추가 예정
참고
https://www.alibabacloud.co.kr/story-987575-2-2-2-2/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cloud_210129.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