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키워드:
HTML,CSS,JavaScript,웹 표준,반응형 웹,적응형 웹
참고:
(책) 혼자 공부하는 얄팍한 코딩 지식
사람들은 웹사이트를 열어서 인터넷 서핑을 하는데, 이 때 사용되는 소프트웨어(ex. 크롬, 엣지, 사파리 등등)를 웹 브라우저, 줄여서 브라우저 라고 한다.
사용자가 구글 크롬 검색창에 네이버 홈페이지 주소(www.naver.com)를 입력한다.구글 크롬은 네이버 서버에 네이버 홈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요청을 보낸다.네이버 서버는 구글 크롬에게 HTML 문서, 파일 등의 데이터를 보내면서 응답한다.구글 크롬은 네이버 서버로부터 받은 문서를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네이버 홈페이지를 화면에 보여준다.HTML: 설계도 이다. 어떠한 논리나 지시를 담은 것이 아닌, 단지 화면에 글자나 이미지, 버튼 등을 가져다 놓는 구조도라고 보면 된다.CSS: JavaScript: 즉, HTML로 각각의 요소들을 '가져다 놓으면' / CSS로 '예쁘게 꾸며주고' / JavaScript로 '일을 시킨다'
이러한 상호작용으로 웹사이트가 만들어진다.
웹 환경의 일관성과 접근성을 보장함으로써, 사용자와 개발자 모두에게 보다 나은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해 웹 표준이 생겨났다.
브라우저의 기본 역할은 HTML, CSS, JavaScript 코드를 사용해서 웹 페이지를 만들어 띄우고 기능들을 실행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기기마다, 브라우저마다 이 세 가지 코드를 읽어 들이는 방식이 다르다면 어떻게 되는가? 이러한 호환성에 문제가 생긴다면 각자 해석 방식이 달라 같은 웹 페이지여도 모두 다르게 보이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떤 브라우저를 사용하든 일관된 방식으로 웹 콘텐츠를 경험할 수 있도록 HTML, CSS, JavaScript 등의 기술이 모든 브라우저에서 일관되게 동작하도록 정의한 것이 웹 표준이다. 이는 사용자 뿐 아니라 개발자에게도 편리함을 제공한다. (각 브라우저 환경에 맞게 따로 개발할 필요가 없으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