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l 설치에 대한 것은 사실 공식문서가 굉장히 잘 되어 있긴하다. ㅎㅎ
그래도 좀 더 상세한 설치방법을 정리하기 위해 이 글을 써본다.
오늘은 윈도우에서 우분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보겠다.
대략적인 플로우는 이렇다.
wsl1
에서 wsl2
로 버전 업그레이드ubuntu
원하는 버전 설치그럼 하나하나 필요한 작업들을 진행해보자.
ms의 공식문서에 따르면, wsl은 윈도우10 2004버전(빌드 19041) 이상에서만 동작이 된다고 한다.
그러니, 내 컴퓨터가 이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해보자.
Powershell
또는 명령 프롬프트
를 열자.
(윈도우 검색 창에서 검색하면 나옴)
그리고 윈도우 버전을 확인해보자.
winver
명령어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뜬다.
내 컴퓨터는 빌드가 19045이고 버전은 2006이여서 wsl을 쓸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한다.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때는 윈도우 업데이트를 해주면 될 것이다.
파워쉘을 관리자 권한
으로 열고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하자.
wsl --install
혹시 위 명령어로 설치가 안된다면, Microsoft store에서 Ubuntu
를 검색해서 설치해주자.
여러 버전이 검색될 건데, 원하는 게 있으면 그 것을 설치해줘도 되고 특별히 원하는 버전이 없다면 버전이 따로 명시되지 않은 Ubuntu를 설치하자.
이렇게 하면 설치는 되었고 컴퓨터를 재부팅하자.
컴퓨터가 다시 켜지면 ubuntu창이 뜨면서 추가 설치를 하고, ubuntu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한다.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고 엔트를 치면 root
계정을 기본으로 ubuntu를 사용할 수 있다. root
계정으로 ubuntu를 사용하고 싶다면 그냥 엔터를 치자.
이 과정도 완료하면 이렇게 완료됐다는 메세지가 뜬다.
먼저 아래의 명령어로 파워쉘에서 자신의 wsl버전을 확인해보자.
wsl -l -v
기본적으로 wsl --install
명령어를 사용하면 2버전이 설치된다고 한다.
그래도 혹시나 1버전인 사람은 아래의 작업을 추가로 진행해주자.
⭐ 만약 버전 1에서 2로 변경되지 않는다면, 여기에서 3,4단계를 진행해주면 된다.
아래의 명령어로 설치된 리눅스의 버전을 변경할 수 있다.
버전1에서 2로 업그레이드도 되고, 2에서 1로 다운그레이드도 된다.
wsl --set-version {리눅스 이름} {변경하고자 하는 버전}
나는 2버전이 설치돼있으니까 1버전으로 변경해보겠다.
wsl -l -v // 버전 확인: 2
wsl --set-version Ubuntu 1
wsl -l -v // 버전 확인: 1
같은 방식으로 1버전인 사람은 2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해주면 된다.
사실 별 생각 없이 2버전을 사용했었는데, 문득 1버전이랑 뭐가 다른지 궁금해서 공식문서 를 찾아봤다.
흠.. 봐도 차이점이 잘 와닿지는 않는다. 🤭
잘모르겠으니 더 높은 버전을 쓰겠다.
위의 과정대로 했을 때 Ubuntu
라는 이름으로 wsl이 설치가 되는데, 이 우분투는 몇 버전인지 확인해보자.
윈도우 검색창에서 ubuntu를 검색해서 ubuntu에 접속한 후, 아래의 명령어로 현재 ubuntu의 버전을 확인해보자.
lsb_release -a
나는 20.04버전을 원했는데, 설치된 우분투가 이미 20.04 버전임을 알 수 있다. ㅎㅎ
하지만, 내가 원하는 버전이 설치되지 않았을 수도 있으니까.
다른 버전의 우분투를 wsl로 사용하는 법을 알아보겠다.
아래의 과정은 우분투 18.04버전
을 사용하려고 하는 것으로 가정해보겠다.
MS스토어에서 검색해서 설치하면 된다.easy
다 설치가 됐으면 파워쉘에서 아래의 명령어로 잘 설치가 됐는지 확인해보자.
wsl -l -v
위 이미지를 보면 그냥 Ubuntu
에 *
표시가 되어 있는데, 기본 wsl로 설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만약 18.04버전을 기본 wsl로 쓰고 싶다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wsl --setdefault Ubuntu-18.04
이렇게 윈도우에서 리눅스를 사용하게 해주는 wsl을 설치하고 다루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다.
wsl이 있어서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다 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