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ean이란? > 스프링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자바 객체 Bean은 POJO 기반 객체로, Spring IoC(Inversion of Control, 제어의 역전) 컨테이너에 의해 인스턴스화, 생성, 관리된다. 어노테이션(Annotation)인 @Bean을
MVC란? > MVC 패턴은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사용하는 디자인 패턴으로, 애플리케이션을 MVC(Model, View, Controller)로 구분하여 각 역할에 맞게 코드를 작성하는 개발 방식이다 Model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이며, 정보들의 가공을 책임지는 컴
@SpringBootApplication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생성을 하게되면, 기본 Application 클래스가 생성된다. 클래스명은 프로젝트에 맞게 설정할 수 있고, 큰 틀은 다음과 같다. 클래스를 보면 @SpringBootApllication 어노테이션을 확인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야 하는 이유 빠른 피드백 테스트 코드가 없다면 코드 수정 -> 프로그램 실행 -> API테스트 도구로 HTTP 요청 -> 출력 후 검증 -> 다시 코드 수정 이 과정을 반복해서 거쳐야한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면 코드 수정 후 간단하게 테스트 코드
ORM이란? > Object-Relational Mapping의 약자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매핑 한다는 뜻이다. ORM 프레임워크 객체와 테이블을 매핑해서 패러다임의 불일치 문제를 개발자 대신 해결해준다. ORM을 사용하면, SQL을 작성하지 않아도 직관적인
더티 체킹(Dirty Checking)이란? > 트랜잭션(Transaction) 안에서 엔티티(Entity)의 변경이 일어났을 때 변경한 내용을 자동으로 DB에 반영하는 것 > Dirty : 상태의 변화가 생김 Checking : 검사 예시 주문 취소 기능 위 코드
Spring Security란? > Spring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의 보안(인증과 권한, 인가 등)을 담당하는 스프링 하위 프레임워크 Spring framework에서는 인증 및 권한 부여로 리소스 사용을 컨트롤 할 수 있는 Spring Security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