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8s] State

이정훈·2023년 5월 2일
0

k8s

목록 보기
12/17
post-thumbnail

state

  • stateful(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stateless(정보를 저장하고 있지 않은)
  •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웹서버에 내용이 클라이언트에 정보가 저장되지 않느다.
  • 근데 웹서버가 저장할 때 가 있다. 로그인을 했을 때, 세션, 토큰 등 내용을 가지고 있다. 이건 개발자가 웹서버 코드를 어떻게 작성했냐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 서비스로 할 수 있는데 서비스를 이용하면 한단계를 굳이 거쳐서 오게 되니깐 불필요한 작업을 없애자!?

Stateless

  • 일반적으로 똑같은 서버끼리 역할이 나눠져 있지 않은 것
    ex) 웹서버
  • 파드가 서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Stateful

  • 일반적으로 똑같은 서버끼리 역할이 나눠져 있는 것
    ex) DB 클러스터에서 마스터와 슬레이브
  • 파드가 서로의 역할을 할 수 없다!

stafeful한 앱을 위한 볼륨

longhorn

  • 쿠버네티스를 위한 볼륨 분산 저장소 역할!
    Longhorn - Cloud native distributed block storage for Kubernetes

  • 하나의 데이터를 쪼개서 저장해준다.

  • 이 친구 설치하면 pv/pvc를 따로 설정해주지 않아도 된다!

  • master, node-01, node-02를 알아서 pv/pvc가 되도록!

  • 미국 ps3로 슈퍼컴퓨터 만들었다.

  • 분산처리를 해서 빠르게 실행되도록! 해주는 역할이다.

  • iscsi설치 (master, node-01, node-02)
    yum install -y iscsi-initiator-utils

  • loghorn 설치 (master)
    kubectl apply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tm/kubetm.github.io/master/yamls/longhorn/longhorn-1.3.3.yaml

loghorn 대쉬보드 설정

  • 지금 클러스터이니깐 외부에서 접속하기위해 노드포트로 변경!!

스토리지 클래스 생성

apiVersion: storage.k8s.io/v1
kind: StorageClass
metadata:
  name: fast
  namespace: ljh-dev
provisioner: driver.longhorn.io
parameters:
  dataLocality: disabled
  fromBackup: ""
  fsType: ext4
  numberOfReplicas: "3"
  staleReplicaTimeout: "30"
  • 파일시스템 방식은 ext4 옛날 리눅스에서 사용했 던것
  • numberOfReplicas: "3" 복제본 수량!

storageclass 사용!

  • pv 2개를 만들어 놓는다.
apiVersion: v1
kind: PersistentVolume
metadata:
  name: pv1
spec:
  capacity:
    storage: 1G
  accessModes:
  - ReadWriteOnce
  hostPath:
    path: /hostpath
    type: DirectoryOrCreate

apiVersion: v1
kind: PersistentVolume
metadata:
  name: pv2
spec:
  capacity:
    storage: 2G
  accessModes:
  - ReadWriteOnce
  hostPath:
    path: /hostpath
    type: DirectoryOrCreate
  • 우선 2개의 pv를 생성하고 pvc 설정을 해준다.
  • pvc를 만들 때 storageClassName: "" 설정에 따라 볼륨 연결이 달라진다.
  • 지정하지 않았을 때
apiVersion: v1
kind: PersistentVolumeClaim
metadata:
  name: pvc1
spec:
  accessModes:
  - ReadWriteOnce
  resources:
    requests:
      storage: 1G
  storageClassName: ""
  • 만들어 놓은 pv의 1g 할당된 친구랑 연결이 된다.
  • 지정하면
apiVersion: v1
kind: PersistentVolumeClaim
metadata:
  name: pvc2
spec:
  accessModes:
  - ReadWriteOnce
  resources:
    requests:
      storage: 1G
  storageClassName: "fast"
  • longhorn으로 만들어 놓은 fast와 연결이 된다.
  • 설정을 빼주면
apiVersion: v1
kind: PersistentVolumeClaim
metadata:
  name: pvc3
spec:
  accessModes:
  - ReadWriteOnce
  resources:
    requests:
      storage: 2G
  • longhorn을 설치해주었기 떄문에 새로운 이름(longhonr)의 pv도 새롭게 생성해 연결한다.

pvc 접근 모드

apiVersion: v1
kind: PersistentVolumeClaim
metadata:
  name: pvc3
spec:
  accessModes:
  - ReadWriteOnce
  resources:
    requests:
      storage: 2G
  • accessModes에 따라서 사용되는 노드가 달라진다.
    모드는 총 3가지 RWO(ReadWriteOnce), ROM(ReadOnceMany), RWM(ReadWriteMany)
  • pvc를 만들고 처음 파드가 생성될 때 사용한(마운트된) 노드에서만 사용하도록!
  • 그래서 아래와 같이 처음 생성되고 마운트를 node-01에 했기때문에 같으 pvc를 사용하려면 같은 노드(워커)에서 작동하도록 해야한다.
  • 이건 RWO 모드 (노드가 같아야한다!)
  • 이건 RWM 모드 (노드가 달라도 된다!)
  • pvc를 만들고 마운트 시켜주면 이렇게 pv가 알아서 생성!

stateful을 위한 앱 서비스

  • pvc까지 자동으로! 만들어지도록 파드만 만들어도 자동화 될 수 있도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

headless

  • 파드의 이름을 가지고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자!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headless1
spec:
  selector:
    svc: headless
  ports:
    - port: 8000
      targetPort: 8080    
  clusterIP: None
  • 서비스를 만들 때, clusterIP: None 를 주지 않겠 다고 선언을 해주고,
    서비스가 셀레터로 파드에 지정된 레이블을 가져오면, 파드의 호스트네임 (파드이름)으로 통신을 할 수 가 있게 된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pod1
  labels:
    svc: headless
spec:
  hostname: pod-a
  subdomain: headless1
  containers:
  - name: container
    image: gugucone/hello:v2.1
  • hostname 설정해주고, 서브도메인 이름 설정해주고 파드 라벨 설정해주고 2개를 만들어준다.
  • headless1 서비스에 모인 묶인 것을 확인!
  • pod1에서 확인을 해보자!
  • 일단 nslookup을 설치해준다.
    apt update apt install dnsutils
    nslookup [서비스이름]
    nslookup [호스트이름].[서비스이름]
  • 위 순서데로 확인하면 ip로 통신하는 것이 아닌 호스트이름으로 통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이를 활용하는 이유는 역할프로그램(stateful, db서버와 같은)들이 이름을 가지고 통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전 작업이다.
    만약 db의 마스터와 슬레이브 사이에 하나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게 되면 IP가 변경 되기 때문에 미리 이름으로 작업이 될 수 있도록 지정해 준것이다!

statefulset

Replicaset, Statefulset 차이!

  • Replicaset은 파드의 이름이 랜덤으로 생성되고 순서가 없지만 Statefulset은 이름에 인덱스 번호가 붙고 순서를 가진다. (이렇게 정해지면 우린 이름으로 통신할 수 있다. 죽었다가 일어나도 이름이 바뀌지 않으니깐!)

  • Replicaset은 파드가 삭제되고 다시 생성되면 대부분의 정보가 새로 생성되지만 Statefulset은 유지된다.(이름은 유지된다!, 그럼 이름 호스트네임으로 통신하니깐)

  • Replicaset은 PVC로 볼륨을 연결할 때 PVC가 미리 생성되어있어야 하지만 Statefulset은 동적으로 PVC 생성 가능 (여기서는 PVC를 생성하지 않고 자동으로 생성해준다!!)

  • Replicaset은 만들 때, 한번에 쫙올라와서 만들어지고 삭제도 한번에 쫙 삭제가 된다. Statefulset은 하나씩, 순서, 인덱스번호가 적히면서 만들어지고 순서데로 삭제 된다.

  • Replicaset은 stateless 만들 때, Statefulset은 stateful한거 만들 때, 주로 사용!

  • 이거말고도 더 있다!

apiVersion: apps/v1
kind: StatefulSet
metadata:
  name: statefulset-test2
spec:
  replicas: 1
  selector:
    matchLabels:
      type: db
  template: 
    metadata:
      labels:
        type: db
    spec:
      containers:
      - name: container
        image: gugucone/hello:2.1
        volumeMounts:
        - name: volume
          mountPath: /mount1
      terminationGracePeriodSeconds: 10
  volumeClaimTemplates:
  - metadata:
      name: volume
    spec:
      accessModes:
      - ReadWriteMany
      resources:
        requests:
          storage: 1G
      storageClassName: "fast"
  • statefulset을 만들어 줄때, pvc 모드와 스토리지클래스를 입력해주면 자동으로 pvc와 pv를 생성해 준다!
  • 이 친구도 컨트롤러중 하나이다, 여기서 스케일을 하나 더 늘려주면
  • 번호 순서데로 생성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실습!!!

Run a Replicated Stateful Application

컨피그 맵
apiVersion: v1
kind: ConfigMap
metadata:
  name: mysql
  labels:
    app: mysql
    app.kubernetes.io/name: mysql
data:
  primary.cnf: |
    # Apply this config only on the primary.
    [mysqld]
    log-bin    
  replica.cnf: |
    # Apply this config only on replicas.
    [mysqld]
    super-read-only    
  • 각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설정파일을 다르게 해서 설정해준다.
서비스
# Headless service for stable DNS entries of StatefulSet members.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mysql
  labels:
    app: mysql
    app.kubernetes.io/name: mysql
spec:
  ports:
  - name: mysql
    port: 3306
  clusterIP: None
  selector:
    app: mysql
---
# Client service for connecting to any MySQL instance for reads.
# For writes, you must instead connect to the primary: mysql-0.mysql.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mysql-read
  labels:
    app: mysql
    app.kubernetes.io/name: mysql
    readonly: "true"
spec:
  ports:
  - name: mysql
    port: 3306
  selector:
    app: mysql
  • 여기서 헤드리스아이피를 주고 파드의 이름을 가지고 찾아갈 수 있도록! 그리고 데이터를 읽게해주는 서비스
스테이트 풀셋
apiVersion: apps/v1
kind: StatefulSet
metadata:
  name: mysql
spec:
  selector:
    matchLabels:
      app: mysql
      app.kubernetes.io/name: mysql
  serviceName: mysql
  replicas: 3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mysql
        app.kubernetes.io/name: mysql
    spec:
      initContainers: 
      # 초기화 컨테이너! 
      - name: init-mysql
        image: mysql:5.7
        command:
        - bash
        - "-c"
        - |
          set -ex
          # Generate mysql server-id from pod ordinal index.
          [[ $HOSTNAME =~ -([0-9]+)$ ]] || exit 1
          ordinal=${BASH_REMATCH[1]}
          echo [mysqld] > /mnt/conf.d/server-id.cnf
          # Add an offset to avoid reserved server-id=0 value.
          echo server-id=$((100 + $ordinal)) >> /mnt/conf.d/server-id.cnf
          # Copy appropriate conf.d files from config-map to emptyDir.
          if [[ $ordinal -eq 0 ]]; then
            cp /mnt/config-map/primary.cnf /mnt/conf.d/
          else
            cp /mnt/config-map/replica.cnf /mnt/conf.d/
          fi
          # 컨피그맵을 볼륨으로 형성해서 사용!
        volumeMounts:
        - name: conf
          mountPath: /mnt/conf.d
        - name: config-map
          mountPath: /mnt/config-map
          # 컨피그맵을 볼륨으로 만들어서 마운트할 수 도 있다!
      - name: clone-mysql # 백업용?으로 사용하는 듯 하다
        image: gcr.io/google-samples/xtrabackup:1.0
        command:
        - bash
        - "-c"
        - |
          set -ex
          # Skip the clone if data already exists.
          [[ -d /var/lib/mysql/mysql ]] && exit 0
          # Skip the clone on primary (ordinal index 0).
          [[ `hostname` =~ -([0-9]+)$ ]] || exit 1
          ordinal=${BASH_REMATCH[1]}
          [[ $ordinal -eq 0 ]] && exit 0
          # Clone data from previous peer.
          ncat --recv-only mysql-$(($ordinal-1)).mysql 3307 | xbstream -x -C /var/lib/mysql
          # Prepare the backup.
          xtrabackup --prepare --target-dir=/var/lib/mysql          
        volumeMounts:
        - name: data
          mountPath: /var/lib/mysql
          subPath: mysql
        - name: conf
          mountPath: /etc/mysql/conf.d
      containers:
      - name: mysql
        image: mysql:5.7
        env:
        - name: MYSQL_ALLOW_EMPTY_PASSWORD
        # 패스워드 없음
          value: "1"
        ports:
        - name: mysql
          containerPort: 3306
        volumeMounts:
        - name: data
          mountPath: /var/lib/mysql
          subPath: mysql
        - name: conf
          mountPath: /etc/mysql/conf.d
        resources:
          requests:
            cpu: 500m
            memory: 1Gi
        livenessProbe:
        # 프로브! 정찰병드! 파드의 상태를 보는 것이다. 파드 자체를 보는 것!
          exec:
            command: ["mysqladmin", "ping"]
          initialDelaySeconds: 30
          periodSeconds: 10
          timeoutSeconds: 5
        readinessProbe:
        # 이 친구는 파드안에 프로그램의 상태를 보는 것! 프로그램을 읽을 수 있냐 없냐
        # 이 말은 파드가 실행되었다고 해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게 아니니깐, 
        # 예를 들어 mysql이 실행되는데 시간이 걸리는데 클라이언트들이 막 접속하면 실패니깐, 살아 있는지 확인해보고 시작
          exec:
            # Check we can execute queries over TCP (skip-networking is off).
            command: ["mysql", "-h", "127.0.0.1", "-e", "SELECT 1"]
            # 실행되었다면 이 명령어를 사용!
          initialDelaySeconds: 5
          periodSeconds: 2
          timeoutSeconds: 1
      - name: xtrabackup
        image: gcr.io/google-samples/xtrabackup:1.0
        ports:
        - name: xtrabackup
          containerPort: 3307
        command:
        - bash
        - "-c"
        - |
          set -ex
          cd /var/lib/mysql
          # Determine binlog position of cloned data, if any.
          if [[ -f xtrabackup_slave_info && "x$(<xtrabackup_slave_info)" != "x" ]]; then
            # XtraBackup already generated a partial "CHANGE MASTER TO" query
            # because we're cloning from an existing replica. (Need to remove the tailing semicolon!)
            cat xtrabackup_slave_info | sed -E 's/;$//g' > change_master_to.sql.in
            # Ignore xtrabackup_binlog_info in this case (it's useless).
            rm -f xtrabackup_slave_info xtrabackup_binlog_info
          elif [[ -f xtrabackup_binlog_info ]]; then
            # We're cloning directly from primary. Parse binlog position.
            [[ `cat xtrabackup_binlog_info` =~ ^(.*?)[[:space:]]+(.*?)$ ]] || exit 1
            rm -f xtrabackup_binlog_info xtrabackup_slave_info
            echo "CHANGE MASTER TO MASTER_LOG_FILE='${BASH_REMATCH[1]}',\
                  MASTER_LOG_POS=${BASH_REMATCH[2]}" > change_master_to.sql.in
          fi
          # Check if we need to complete a clone by starting replication.
          if [[ -f change_master_to.sql.in ]]; then
            echo "Waiting for mysqld to be ready (accepting connections)"
            until mysql -h 127.0.0.1 -e "SELECT 1"; do sleep 1; done
            echo "Initializing replication from clone position"
            mysql -h 127.0.0.1 \
                  -e "$(<change_master_to.sql.in), \
                          MASTER_HOST='mysql-0.mysql', \
                          MASTER_USER='root', \
                          MASTER_PASSWORD='', \
                          MASTER_CONNECT_RETRY=10; \
                        START SLAVE;" || exit 1
            # In case of container restart, attempt this at-most-once.
            mv change_master_to.sql.in change_master_to.sql.orig
          fi
          # Start a server to send backups when requested by peers.
          exec ncat --listen --keep-open --send-only --max-conns=1 3307 -c \
            "xtrabackup --backup --slave-info --stream=xbstream --host=127.0.0.1 --user=root"          
        volumeMounts:
        - name: data
          mountPath: /var/lib/mysql
          subPath: mysql
        - name: conf
          mountPath: /etc/mysql/conf.d
        resources:
          requests:
            cpu: 100m
            memory: 100Mi
      volumes:
      - name: conf
        emptyDir: {}
      - name: config-map
        configMap:
          name: mysql
  volumeClaimTemplates:
  # 이걸 사용하려면 동적프로비저닝을 사용해야하는데 우린 loghorn사용했으니
  - metadata:
      name: data
    spec:
      accessModes: ["ReadWriteOnce"]
      resources:
        requests:
          storage: 10Gi
  • 주석 부분을 잘 읽어보자!
  • 스테이트풀셋을 사용한 이유는 이니셜 컨테이너에서 이름 가지고 마스터와 슬레이브를 나눌 수 있기 떄문에! 스테이트 플셋은 0, 1, 2, 3, 4, 이렇게 인덱스 번호로 시작되니깐 0은 마스터로 그리고 나머지 숫자는 슬레이브로 사용하도록!
  • if [[ $ordinal -eq 0 ]]; then
    cp /mnt/config-map/primary.cnf /mnt/conf.d/
    else
    cp /mnt/config-map/replica.cnf /mnt/conf.d/
    fi
profile
싱숭생숭늉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