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기에 앞서>
파이썬은 객체지향 언어다. 변수, 리스트, 함수, 모듈 등 파이썬에서 사용되는 모든 것들을 객체라고 한다.
따라서 'a = 4'이라는 코드를 작성했을 때, 우리는 직관적으로 a는 4구나!하고 a를 숫자 변수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사실은 이 코드를 작성함으로써 '4라는 값을 가지는' '정수 타입'의 객체를 만들고, a가 그 객체를 가리키는 포인터인 것이다.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조건 : 1. 변수 x에 2를 저장, 변수 y에 1을 저장한다.
2. z를 x와 y의 합으로 저장한다.
3. z의 값을 출력한다.
한 줄에 x와 y 변수에 2와 1을 각각 저장할 수도 있고,
x = 2
y = 1
와 같이 두 줄에 나누어 숫자를 저장할 수 있다.
식 (20 X 5) + (34 - 2) - 72/5 의 계산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괄호로 묶인 세 항들을 각각 변수로 저장해 준 뒤 계산값을 출력한다.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면서, 다음과 같은 화면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조건 : 1. 1과 2와 3, 세 가지를 저장하는 변수 세 개만을 선언하며, 변수의 재선언을 하지 않는다.
2. print(10)과 같이 print문 안에 숫자를 직접 출력하지 않는다.
3. 각 print()문 안에는 세 변수 중 최소 두 개의 변수를 사용한다.
[Result]
10
100
1000
이 출력값을 도출해내는 데에는 방법이 정말 무궁무진하겠지만 일단 이런 식으로 구현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