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용어
- SCP : Server Class Provider , Server 역할
- SCU : Server Class User, Client 역할
- AE : Application Entity, Network내에 특정 Application
- IOD : Information Object Definition, 데이터를 이루는 정보(IOD종류)
- SOP : Service-Object Pair, Service는 주로 Command를 의미 Object는 IOD를 의미
- DIMSE Service-IOD,
- (명령어-정보) 조합
- DIMSE : DICOM DICOM Message Service Element, AE 간의 메시지 교환을 위한 메커니즘
- DIMSE-C : Those services application to Composite SOP Instances, DIMSE 메세지 교환 메커니즘 중 하나를 의미
DIMSE-C Services
- C-STORE: 영상이나 문서 같은 DICOM 객체들을 저장하기 위한 서비스입니다. C-STORE Services
- C-GET: 서버로부터 DICOM 객체를 직접 요청하고 전송받기 위한 서비스입니다. 서버는 C-GET 요청을 받은 후 요청한 객체들을 클라이언트에게 직접 전송합니다. C-GET Services
- C-MOVE: 지정된 DICOM 객체들을 서버로부터 다른 대상(AE)으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서비스입니다. 여기서는 요청 받은 서버가 대상 AE로 객체를 전송합니다. C-MOVE Services
- C-FIND: 부합하는 조건의 DICOM 객체를 찾기 위한 요청을 하는 서비스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 환자의 의료 기록이나 영상을 검색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C-FIND Services
- C-ECHO: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테스트용 서비스입니다. C-ECHO Services
C-GET vs C-MOVE
C-MOVE와 C-GET의 차이점
- C-MOVE와 C-GET은 모두 Query/Retrieve 서비스입니다만, 주된 차이점은 데이터의 전송 대상에 있습니다. C-GET은 데이터를 요청한 클라이언트에게 직접 전송하는 반면, C-MOVE는 요청한 클라이언트가 지정한 다른 AE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 결론적으로 C-MOVE는 C-GET에 비해 데이터 전송을 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므로 대체로 더 많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C-GET과 C-Store의 차이
C-GET 서비스란?
- C-GET 서비스는 DICOM Query/Retrieve 프로토콜의 일환으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특정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요청하고, 해당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받는 과정에서 사용됩니다. 즉, C-GET 명령을 통해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는 따로 다른 노드(node)에 데이터를 보내는 대신, 요청한 클라이언트에게 직접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C-STORE 서비스란?
- C-STORE 서비스는 단일 DICOM 객체를 목적지 AE로 전송하고 저장하도록 요청하는 서비스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DICOM Push'라고도 불리며, 의료 이미지나 기타 DICOM 객체를 PACS나 다른 DICOM 장비로 보낼 때 사용됩니다.
C-GET과 C-STORE의 핵심 차이점
- 데이터 전송 방식: C-GET은 요청자에게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는 반면, C-STORE는 목적지 AE에 데이터를 "푸시(push)"하는 방식입니다.
- 데이터 흐름: C-GET의 경우 데이터 흐름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양방향이 되며, C-STORE는 일방향으로 데이터가 전송됩니다.
- 네트워크 사용: C-GET은 네트워크 사용이 더 복잡할 수 있으나, 서버가 요청자 측의 구성을 몰라도 됩니다. C-STORE는 네트워크 사용이 상대적으로 간단하지만, 응답자가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를 받을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참고 문헌
7.5 DIMSE Services
DICOM Viewer 와 PACS